일반 대학교 교육과 사이버대학 교육의 비교분석
- 최초 등록일
- 2022.05.04
- 최종 저작일
- 2022.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일반 대학교 교육과 사이버대학 교육의 비교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반대학의 역사와 현황
Ⅲ. 사이버대학의 연혁과 현황
Ⅳ. 대학교 교육의 비교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대학 교육이란 성인으로서 인격을 도야하고,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심오한 학술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가르치고(敎授)·연구하며, 국가와 인류사회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교육이다.
우리나라 고등교육법에 의하면 대학교를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기술대학, 방송대학ㆍ통신대학ㆍ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대학, 각종 학교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원격대학은 국민에게 정보ㆍ통신 매체를 통한 원격교육으로 고등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여 국가와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함과 동시에 열린 학습사회를 구현함으로써 평생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종류의 대학들은 나름대로 특성과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 모두 평생 교육 실현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 대학들의 교수법을 기준으로 등교 수업의 일반대학과 인쇄매체나 방송통신 매체를 활용한 원격교육과 1990년 이후 인터넷 기술과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사이버대학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주제에서는 대학의 역사와 일반대학과 사이버대학의 비교를 다뤄보고향후 사이버대학교의 미래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일반대학의 역사와 현황
대학은 서양 문화의 산물이다. 기원전 387년 무렵,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 플라톤이 세운 학교인 아카데미아에서 대학의 기원을 찾을 수 있지만 우리가 흔히 대학이라 일컫는 고등교육기관은 12세기 중세 유럽에서 시작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 프랑스의 파리 대학,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이다.
서양의 중세 대학은 교사와 학생의 자치 공동체였다. 오늘날 대학을 뜻하는 유니버시티(University)는 라틴어인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다수, 복수, 사람의 집합체 등을 의미한다. 단체나 국가가 특정 목적으로 세운 기관이 아닌, 교사와 학생이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스스로 조직한 조합이 바로 서양의 중세 대학이었던 셈이다.
참고 자료
대한민국현행법령집
KERIS 이슈리포트(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시대의 사이버대학(정종욱)
코로나19 시대의 대학교육(정병석)
한겨레신문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609802.html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221054200005
서울신문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429500105&wlog_tag3=naver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