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빌리 엘리어트 주인공의 발달과정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1.12.11
- 최종 저작일
- 2020.06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에릭슨의 자아정체감이론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3. 마거릿 미드와 루스 베네딕트의 이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필자는 이전에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두 번 감상했다. 어릴 적에 부모님과 같이 이 영화를 보았을 때는 신나는 음악과 춤에 웃고 감동적인 결말에 눈물을 흘렸었고, 나중에 커서는 당시 영국 노동자들의 현실에 집중하며 영화를 감상했다. 그러나 빌리가 그런 사회 속에서 감동적인 결말을 맞이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집중해본 적이 없었다. 영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빌리 엘리어트’라는 소년의 성장기 자체가 핵심인 영화인데도 말이다. 어릴 적에는 이 소년의 성장과정에 대해 자세히 생각해볼 수 있는 능력이 없었고, 커서는 빌리의 이야기가 개천에서 용이 난 것처럼 예외적인 경우일 뿐이라고 치부해버렸던 것 같다. 하지만 발달이론을 학습한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면 빌리를 그저 개천에서 용이 난 아이로만 여긴 건 편협한 사고였다. 오히려 빌리가 겪는 일 중에는 지극히 평범한 부분도 꽤나 존재한다. 그래서 빌리가 그런 마법 같은 결말에 도달하는 과정은 더더욱 복잡하고 생각해볼 거리가 많다. 따라서 필자는 이번 기회에 빌리의 발달과정을 세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분석해보기로 하였다.
Ⅱ.본론
1. 에릭슨의 자아정체감이론
(1) 에릭슨의 이론에 근거한 빌리의 발달과정 분석
영화의 주요 내용이 전개되는 시점에서 빌리의 나이는 11세이다. 이 시기는 에릭슨의 이론에 의하면 학령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빌리의 학령기 이전 시기의 발달과정에 대해서는 영화 내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근거하기 보다는 세부적인 설정에 근거한 추측에 의존하여 분석할 수밖에 없었음을 먼저 밝히고자 한다.
우선 영화 속 빌리의 행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은 진로에 관한 아버지 및 형과의 갈등이다. 이는 정체감 탐색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빌리가 무용수라는 진로에 처음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즈음부터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참고 자료
F. Philip Rice, Kim Gale Dolgin. (2009). 청소년심리학 (pp. 32). n.p.: 시그마프레스.
형식적 조작기 . (n.d.).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0942&docId=3434917&categoryId=3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