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과 도시디자인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1.09.15
- 최종 저작일
- 2021.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도시 계획
1. 도시계획의 개념
2. 대한민국의 도시계획
3. 도시계획의 형태요소
4. 도시계획의 양상
Ⅱ. 도시 설계
1. 도시설계의 개념
2. 도시설계의 역사
3. 도시설계의 역할
4. 도시설계의 과제
Ⅲ. 도시계획과 도시디자인의 차이
Ⅳ. 도시 내의 건축 제한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도시계획의 개념
도시계획(都市計劃)은 도시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환경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간에 배치하려는 계획이다.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정립해 가며 이를 시행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또한 도시계획은 도시의 장래 발전 수준을 예측하여 사전에 바람직한 형태를 미리 상정해두고 이에 필요한 규제나 유도정책, 혹은 정비수단 등을 통하여 도시를 건전하고 적정하게 관리해 나가는 도구이기도 한다.
2. 대한민국의 도시계획
대한민국에서 도시계획의 법률상 정의는 특별시·광역시 또는 군의 관활 구역에 대하여 수립하는 공간구조와 발전방향에 대한 계획으로서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으로 구분한다.
(1) 도시기본계획
특별시·광역시·시 또는 군의 관활구역에 대하여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도시관리계획 수립의 지침이 되는 계획이다.
(2) 도시관리계획
특별시·광역시시 또는 군의 개발·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 이용, 교통, 환경, 경관, 안전, 산업, 정보통신, 보건, 후생, 안보, 문화 등에 관한 계획이다.
3. 도시계획의 형태
(1) 도시의 평면형태
도시의 평면형태, 즉 가로망은 시가지의 가로세로 뻗은 길의 체제를 말한다. 도시의 평면형태는 크게 규칙형, 불규칙형, 혼합형으로 나뉜다.
먼저 규칙형에는 격자형, 방사형, 격자방사형으로 나누어지는데, 격자형의 가로망은 바둑팜처럼 정형으로 배열한 형태로 인식이 쉽고 관리가 효율적이다. 또한 단조롭고 획일적인 특징이 있다. 단조롭고 획일적인 특징은 민주적인 성격을 띄고 있지만 도시에 사는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거리는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거리를 걸으며 바라보는 풍경이 거의 바뀌지 않아 그렇다. 방사형 가로망은 중심부에 원 형태로부터 동심원 형태로 발달하는 것으로 도시 중심부로의 접근이 편리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을유문학사 / 유현준
도시와 건축, 그리고 도시설계 / 대한건축학회 / 김세용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도시설계의 역할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배웅규
도시설계 / 무영건축
도시설계 / 두산백과
도시설계 이론편/ 보성각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월간도시문제 / 채민규
도시설계와 건축사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 한영숙
제도 도시설계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 방향 연구 / 장경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