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현대 철학적인 인간관의 특징과 과학적인 인간관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최초 등록일
- 2021.06.12
- 최종 저작일
- 2020.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후기 현대 철학적인 인간관의 특징과 과학적인 인간관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후기 현대 철학적 인간관 특징
1) 주체적이고 자기 형성이 가능한 인간
2) 규범적이고 합리적 선택이 가능한 인간
3) 역사적이며 사회적으로 성장하는 인간
2. 과학적 인간관의 비판적 고찰
1) 과학적 인간관 특징
2) 과학적 인간관 비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은 지금까지 살아왔던 전 역사를 통해서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데 시대에 따라 서로 상이한 주장들을 펼쳐왔다.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인 철학은 세계와 사물 그리고 사건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때 신이나 자연이 이미 결정해놓았다는 절대적이고 불변적인 믿음을 갖고 모든 것을 파악하려고 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 인간은 사물과 세계의 의미와 진리에 대해 상대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했으며, 과거의 전통적인 철학을 강하게 부정하고 새로운 철학적인 사고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과거의 과학세계에서 천동설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주창했던 코페르니쿠스의 혁명적인 사고의 전환과 비길 정도로 획기적인 것이었다. 이를 통해 후기 현대 철학은 인간이 아닌 절대적인 존재나 자연에 의해서 완성체로 주어진 것과 같은 생각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는 의미의 상대성이 강조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후기 현대 철학적 인간관은 전체성이나 획일성을 부정하고, 통일성이나 보편성을 거부하며, 다양성과 개체성 그리고 개방성과 불확정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인간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이해나 지식도 인간이 지닌 관심과 동기, 가치관이나 신념 등에 기초하여 끊임없이 변화되어가는 역사적이며 사회적인, 인간적 산물이 된 것이다.
참고 자료
조화태 외, 인간과 교육, 서울:방송대 출판문화원.
성염 외, 인간이라는 심연:철학적 인간관, 서울:철학과 현실, 1998.
하두봉 외, 인간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1.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인간과 교육,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박성수, 이성진, 교육심리학,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