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plate count anomaly 미생물 실험
- 최초 등록일
- 2021.05.18
- 최종 저작일
- 2021.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the great plate count anomaly 미생물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이론
1) 미생물이란
2) 미생물의 생장측정
3) 평판계수법
4) 직접계수법(Direct cell count)
5) 배양배지 culture media
6) 미생물 배양 시 발생 가능한 오염의 원인
2. Discussion
1) direct cell count가 heterophic plate count의 수보다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2) spread plate와 pour plate의 미생물 수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희석배수에 따라 spread plate와 pour plate의 미생물 수가 정확히 비례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4) 배지에 들어가는 한천은 세균의 영양분인가?
5) 배지에 한천을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
6) heterotrophic plate count와 direct cell count는 자연 표본의 균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이론
1) 미생물이란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맨눈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작은 생물이다. 미생물의 micro-는 그리스어로 작다는 의미다. 미생물은 진균, 원생동물, 세균, 고세균, 바이러스, 조류 등을 포함한다. 지구상 어디에서나 살고 있고 어떤 미생물은 고등 생물이 도저히 살 수 없는 산소가 없는 환경, 100기압의 바다 밑 등 극한 환경에서도 활발히 활동한다. 미생물은 생태계의 분해자로서 영양분 재활용에 아주 절대적이다.
2) 미생물의 생장측정
미생물 세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시료 내에 얼마나 많은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직접법 외에도, 생균수를 측정하는 방법, 세포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탁도 측정, optical density, OD), 세포 구성물질(단백질 또는 핵산)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세포의 건조증량을 측정하는 등의 간접법이 있다.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94417&cid=61232&categoryId=6123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94531&cid=61232&categoryId=6123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145093&cid=61232&categoryId=61232
김완기, 아름다운 미생물 이야기, 153p~156p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io0719&logNo=22098397039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tp://cms.takara.co.kr/file/lsnb/24_h_1.pdf https://blog.naver.com/ling1134/70177409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