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방법론]코칭의 실제
- 최초 등록일
- 2020.09.23
- 최종 저작일
- 2019.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코칭방법론]코칭의 실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코칭에 대한 이론적 검토
2) 코칭의 필요성
3) 신입 사회복지사의 GROW 코칭모델 적용
가. 1단계 목표 설정(Goal)
나. 2단계 현실 파악(Reality)
다. 3단계 대안 탐색하기(Option)
라. 4단계 실천의지 확인(Will)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코칭은 대상자의 내면의 힘을 깨우고 현재 삶의 방향과 모습에 대해 통찰력을 갖추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위해 변화와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코칭의 대상과 목적, 방법에 따라 발전하고 있으며, 코칭의 기법이 더욱 다변화되면서 최근 몸과 마음의 에너지, 의식과 무의식의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코칭 방법론에서 코칭 모델은 GROW 기법을 활용하여 원리가 단순하고 명확한 실행을 통해 가장 명확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GROW 기법은 코칭 과정에서 대상자가 수용할 수 있는 단순하고 유용한 도구이다. 대상자의 인지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행동적 변화를 관찰하여 코칭가는 이러한 변화를 지지하고 결과 지향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대상자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도록 돕는다.
GROW 기법은 코칭 모델 중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중적인 모델이며, 문제정의, 원인파악, 해결방안 모색, 실행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이는 단순하고, 적용이 쉽고, 대상자의 인지를 통해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에 중점을 둔다.
코칭 주제를 해결 과정 프로세스는 코칭 대화의 순서와 절차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의 위협요인, 자원, 현실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며, 세부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최종적인 결정이 이루어진다.
최근 코칭 모델로서 GROW는 보편적이고 대표적인 코칭 모델이 된 이유는 조직구성원의 성장과 문제 해결을 돕고 개인의 역량과 조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갖추고 있는 기술을 향상하게 시키고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수 있도록 개인과 조직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코칭은 코칭가와 대상자의 일대일 관계를 맺고 코칭가는 다양한 전문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더욱 더 많은 능력을 발휘하는 방법을 습득시킬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참고 자료
이희경(2005). 코칭입문. 서울: 교보문고
정진우(2005). 코칭 리더십. 서울: 아시아코치센터출판센터
정진우(2009). 세계코칭리더십의 핵심을 말한다. 월간 HRD, 4월호
정혜숙(2006). 특정 공포증에 적용한 에너지심리학 중재(EFT)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성진(2008). 코칭ABC. 서울: 심포지움 출판사
최정혜(2013).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중등교육연구,
최치영(2004). 상사의 코칭이 직원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우리나라
대학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대학원
탁진국(2010). 코칭 심리의 필요성. 2010 학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