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ng-hyun Kim and Song-soo Lim (2003), “The Logic and Negotiation Direction of the Status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WTO”,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olicy Reseach Report, 4-22 (19 pages).
· 박웅두 (2019, 10.24), “트럼프 협박에 넘어가는 한국 정부? 농민들 다 죽는다”, 오마이뉴스.
· Jin-kyo Seo, Ji-hyun Park and Min-sung Kim (2019), “Recent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Status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WTO”,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3-19 (15 pages)
· 임성현 (2019, 11.13), “[경제신문은 내친구] WTO 개도국 지위 포기”, 매일경제.
· 김기환 (2019, 11.25), “한국 24년만에 WTO 개도국 지위 포기···당장 불이익 없다”, 중앙일보.
· 정원석 (2019, 10.21), “정부 'WTO 개도국 지위' 곧 포기 결정…"농업 보조금 등은 유지"”, 조선비즈.
· 이대혁 (2019, 10.21), “[단독] 정부 ‘WTO 개도국 지위’ 내놓는다”, 한국일보.
· 김상현, 임송수 (2003), “WTO 개도국 지위의 논리와 협상 대응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 P60.
· 박웅두 (19.10.24), “트럼프 협박에 넘어가는 한국 정부? 농민들 다 죽는다”, 오마이뉴스.
· 서진교, 박지현, 김민성 (2019), “최근 WTO 개도국지위에 관한 논의 동향과 정책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08.
· 국제협력국 (2019), “WTO 쌀 관세화 검증 5년만에 마무리, 쌀 관세율 513% 확정”, 농림축산식품부, 11342.
· 주영선 (2019, 11.13), “WTO 개도국 지위 철회 등에 경북 농업 돌파구 찾는다”, 위클리오늘.
· 황봉규 (2019, 11.19), “WTO 개발도상국 포기…경남 농업에 어떤 영향 미치나”, 연합뉴스.
· 백종운 (2019, 11.19), “기후변화로 농업생산 난항...수용성 규산 등 농자재 지원 절실”, 한국농어민신문.
· 김무진 (2019, 11.17), “개도국 지위 포기에 따른 농민 피해 최소화 대책 촉구”, 경북도민일보.
· 서륜 (2019, 11.22), “쌀 관세율 ‘513%’ 사실상 확정”, 농민신문.
· 원재정 (2019, 07.07), “농식품부, 쌀 관세율 513%지키고 국별 쿼터 2배로 내준다”, 한국농정.
· 배문숙, 정경수 (2019, 10.25), “농업계 ‘식량 및 통상주권 포기’ 강력 반발”, 헤럴드 경제.
· 최재필 (2019, 11.20), “한전, 농어촌상생협력기금 50억원 출연”, 전자신문.
· 원재정 (2019, 11.24), “쌀 관세율 513% 얻고 우리가 잃은 것들”, 한국농정.
· 길상훈 (2019, 11.24), “공주시, 예하지마을 농촌체험객 2년 연속 2만명 돌파”, 충남일보
· 이경미 (2019, 10.24), “쌀 소비 줄어드는데 공급 과잉 여전...생산성 향상 때문”, 한겨레.
· 이태훈, 김익환 (2019, 06.10), “너무한 ‘쌀 직불금’... 가격 보전 1조, 보관에 3800억”, 한국경제.
· Jeong-Seop Kim, Si-Hyun Park, Yong-dan Kim and Ji-Eun Lim (2011), “Evaluation of Rural Development Policy and New Direc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Kim Jeongseop, 김경덕 and Lim Jieun (2015), “The Social Economy in Rural Korea and the Policy Direc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02(202 pages).
· Sim, Kyu-Won, Cho and Deok-Ho (2009), “Analysis on Influence of Local Festival Satisfaction in Rural Area on Regional Revitalization”,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49-263(15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