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말하지 않겠습니다 구순 및 구개열 case study A+ 자료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9.09.13
- 최종 저작일
- 2019.05
- 4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더 말하지 않겠습니다 구순 및 구개열 case study A+ 자료입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아 간호력
2. 신생아 간호사정도구
3. 질병에 관한 문헌 정리
4. 치료과정
5. 투약
6. 간호과정
7. 특수치료
8. 윤리적 사고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 구순열과 구개열은 배아기 발달 동안 발생하는 안면기형으로 가장 흔한 두부와 경부의 선천성 기형이다. 구순열과 구개열은 각각 나타나기도 하지만 두 가지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더 흔하다. 구순열만 있는 환자와 구순열과 구개열이 동시에 있는 환자의 비율은 1:2 정도이며, 구순열은 왼쪽에 오는 경우가 오른쪽에 오는 경우보다 2배 많다. 상대적으로 양쪽에 동시에 오는 빈도는 낮은 편이다. 구순열 환자는 약 500~700명 중 한명 꼴로 발생하며, 백인이나 흑인에 비하여 아시아인종에서 다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구개열의 경우에는 발병률의 차이를 봉지 않고 있다.
1) 구순열(cleft lip)
: 구순열은 상악골과 중간 코돌기의 융합부전으로 발생하게 되고, 두경부에 발생하는 선천성태아안면기형 중 가장 많은 질환 중 하나이다. ‘입술 갈림증’, ‘토순’, ‘언청이’ 라고도 불리고 태상기 4~7주 사이에 주로 발생하며 입술이 갈라져서 코 쪽으로 연장된 점이 특징적인 소견이다. 대부분의 구순열의 경우에는 출생 시에 진단이 가능하지만 미세한 갈라짐의 흔적만 있는 미세형 구순열은 진단이 늦어 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2) 구개열(cleft palate)
: 경구개를 이루는 두 개의 두개골이 완전히 얼맞지 않아서 생기는 기형이다. 연구개에도 이러한 일이 생길 경우에 입술갈림증도 같이 생기게 된다. 구개열은 완전구개열과 부분구개열로 나뉘게 되는데 완전구개열은 연구개와 경구개에 걸쳐 생기며, 턱에도 틈이 생길 수 있다. 부분구개열은 입천장에 구멍이 생기는 형태이며 연구개 갈림증이 되기도 한다. 구개열이 생기면 목젖도 갈라지게 되는데 이는 임신 중 발생상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생기며 코 격막 또는 중앙 구개 형성시의 이상이다.
2. 병태생리&원인
: 구순구개열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 자료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차영남 외, 현문사
아동간호학, 김영혜 외 (2012), 현문사
신생아간호, 김미예 (2011), 군자출판사
아동간호임상매뉴얼, 이화자(2001), 수문사
소아과학, 안효섭(2007), 대한교과서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홍창의 소아과학(제10판) 안호섭(201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015)
신생아 집중 치료 지침서, 대한신생아학회(2004), 광문출판사
최신아동건강간호학(2016),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