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시인, <풀> 에 대한 절대주의 및 생산론적 관점에서의 비평
- 최초 등록일
- 2015.09.29
- 최종 저작일
- 2014.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ss****
5회 판매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나는 김수영 시인의 <풀> 이라는 작품을 절대주의와 생산론적 관점 이라는 두 가지 비평 방법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그러한 방식으로 시를 읽을 때 어떠한 의미차이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우선 절대주의적 비평 방법론은, 작품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언어 자체의 구조와 형식을 분석하는 관점을 갖고 있다. 시의 언어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그 작품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탐구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겠다. 이 방법론에 근거하여 시를 분석해보자.
이 시를 개괄적으로 보면, ‘풀’ 이라는 대상과 ‘바람’ 이라는 대상 사이에 어떠한 갈등구조가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시 속에서의 풀은 바람과 비에 의해 눕혀지고, 그렇기 때문에 울음을 터뜨리는 대상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눕는다 / 일어난다’ , ‘운다 / 웃는다’ 등의 대조적인 동사구조의 관찰로 미루어보아, 이 시 전체적으로 대립적인 이미지 및 갈등구조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