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개화사상

*공*
최초 등록일
2000.09.18
최종 저작일
2000.09
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목차

1.〔형성기의 개화사상〕
2.〔초기의 개화사상〕
3.〔후기의 개화사상〕
4.〔성격과 평가〕

본문내용

개화사상(開化思想)

조선 말기, 종래의 전통적인 봉건적 사회질서를 타파하고 근대적 시민사회의 형성을 지향한 개혁․진보의 사상. 구체적으로는 1853~60년대부터 형성되어 발전한 자주근대화 및 변혁과 진보의 사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화를 계발하거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서 쓰이고 있는 <개화>라는 용어는 원래 《주역(周易)》의 <개물성무 화민성속(開物成務 化民成俗)>에서 취한 것으로, 그 뜻은 모든 사물의 궁극을 밝혀 경영하여 나날이 새롭게 하고, 새로운 것으로 백성을 변화하게 하여 풍속을 이룩한다는 것이다. 또 중국 동진(東晉)의 화가 고개지(顧愷之)는 《정명론(定命論)》에서 <무릇 극(極)을 세워 개화(開化)하며, 성(聲)을 세워 법칙을 만든다>라고 하였다. 조선 말기의 개화사상에서는 개화라는 말이 당시의 민족적 위기를 맞아서 나라와 백성을 자주적으로 근대화, 변혁시켜 진보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형성기의 개화사상〕
반외세 와 반봉건이 우리 민족이 당면한 역사적 과제로 떠오르기 시작한 19세기 후반, 나라 안의 봉건적 모순을 깨닫고 세계 역사발전의 방향으로 사회를 이끌려는 개화사상이 생겨났다.
개화의 사상은 1853~60년대에 오경석(吳慶錫)․박규수(朴珪壽)․유대치(劉大致) 등 선구자들에 의해서 형성되어갔다. 그들은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실학의 한 흐름인 북학파의 사상에다 서양의 근대사상을 접목하여 개화사상의 기본 골격을 세울 수 있었다.) 계승하고 중국에서 구입해 온 신서(新書) 등의 도움으로 개화사상을 형성해 나갔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최초의 선구자는 중인 출신의 역관 오경석이었다. 그는 북학파 박제가(朴齊家)의 실학을 공부하였고, 10여 차례나 청(淸)나라를 내왕하면서 서양 열강의 서세동점(西勢東漸)이라는 현실과 서양의 새로운 과학에 따른 신학문에 눈을 떴고, 《해국도지(海國圖志)》 《영환지략(瀛環志略)》 《박물신편(博物新編)》 등의 신서 수백권과 새로운 세계지도와 자명종 등 다수의 서양문물을 사가지고 돌아왔다. 오경석은 박제가의 실학을 계승, 발전시키고 신서를 읽고 연구하여 개화사상을 형성하는 한편, 중인 출신 한의인 친구 유대치(劉鴻基라고도 함)에게도 신서 연구를 권하였다. 그리하여 유대치도 오경석의 사상과 견문을 전해 듣고 신서들을 독서, 연구함으로써 개화사상을 형성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1.일제시대
박은식, {한국통사}(1918)
田保橋 潔, {近代日鮮關係의 硏究} 상 (1940)
古筠기념회, {김옥균전}(상) (1944)
2.북한
1949년 백남운등, {조선민족해방투쟁사}
김석형 등, {조선역사}(1953)
1955년 이나영, [1884년 갑신정변에 관한 연구]
3.일본
山邊健太郞, [조선의 개혁운동과 김옥균-갑신정변과 관련하여](1960)
梶村秀樹, [조선근대사와 김옥균 평가] (1966)
안병태, {조선근대경제사연구} (1975)
강재언, {조선의 개화사상} (1980)
原田環, [일본에 있어서의 갑신정변 연구] (1985)
4.남한
이광린, {개화당연구} (1973)
신용하, {한국근대사와 사회변동} (1980)
주진오, [개화파의 성립과정과 정치사상적 동향] (1993)

자료후기(1)

*공*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한국 근현대사 과제물 (조선 개국, 통상 역사 관련) 1페이지
    번째로 생긴 나의 생각은 외세 침략에 대응하는 시기에 위정척사론 세력, 개화사상 ... 《한국의 근대사회로의 모색과 이념, 한국근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9세기 ... 급진개화파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었다.
  • 워드파일 [교철사] 한국 근현대사 교육사 정리 1페이지
    한국 근현대 교육사는 크게 개화기,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의 교육으로 나눌 ... 근대적 교육제도를 도입했고, 민주주의 이념에 기반한 교육의 기회 균등 사상 ... 진출로 조선이 변화해야 한다는 자각을 하게 됩니다.
  • 한글파일 환재 박규수의 생애와 개화사상의 논의 7페이지
    따라서 개화사상은 당시 조선사회가 직면했던 민족적 시련을 극복할 수 있는 ... 그는 효제충신의 덕이 있으면 누구나 사가 될 수 있으며, 사가 농사를 지으면 ... 사상적 접근과 이해 Ⅳ. 개화사상 Ⅴ. 맺음말 참고 문헌 Ⅰ.
  • 한글파일 갑신정변과 김옥균 7페이지
    『김옥균』에서는 이전의 연구와 같이 개화사상조선후기 실학에서 연원한다고 ... 시대의 풍운아, 혁명가, 애국적 개화사상가, 친일 매국노 등 김옥균 앞에 ... 그는 이 논문을 토대로 하여 1958년 『조선민족해방투쟁사』를 저술하였다.
  • 한글파일 개화사상과 위정척사 6페이지
    청년사. 2000. 140-154p - 지두환. 『한국 사상사』. ... 『한국 사상사의 과학적 이해를 위하여』. ... 사상의 형성 배경 개항 이전의 조선은 성리학의 국가였다.
  • 한글파일 갑신정변의 전개와 결과 6페이지
    머리말 갑신정변은 1884년 김옥균을 비롯한 급진개화파가 개화사상을 바탕으로 ... 사. ... 이에 반해 민씨 일파의 사대정책에 반대하고 일본 제국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아
  • 워드파일 한국근현대사 2페이지
    반대해 이루어진 영남만인소가 행해졌다. 2차 수신사 이후 1880년에 개화정책을 ... 19세기의 서세동점은 동양에서의 중국 중심의 전통 아시아 국제질서, 중화사상을 ...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가지고 귀국하자, 고종은 정부대신들과 논의하였고, 개화정책과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초대이벤트 - 뮤지컬 모짜르트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조선사]개화사상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