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UD의 성격발달이론
- 최초 등록일
- 1999.10.30
- 최종 저작일
- 1999.10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인간의 정신세계
2. 성격의 구조
3. 성격의 발달단계
4. Freud 이론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1. 인간의 정신세계
1) 의식(意識, consciousness)
- 개인이 자기의 주의를 기울이는 바로 그 순간에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생활의 일부분
- 대부분의 자아(ego)가 포함되어 있다.
2) 전의식(前意識, preconsciousness)
- 주의를 집중하고 노력하면 의식이 될 수 있는 정신생활의 일부분
- 자아 영역에 속한다.
3) 무의식(無意識, unconsciousness)
- 전적으로 의식 밖에 존재
- 무의식의 내용은 자신이 영원히 알지 못할 수도 있고, 이따금 일부의 무의식이
전의식으로 올라가면 의식되는 수도 있다.
- 무의식 내용은 원본능(id)과 초자아(superego)로 구성, 행동과 사고를 좌우. 방어기제와
전환적 신경증상 유발
2. 성격의 구조
1) 원본능(原本能, id)
- 신생아 때부터 존재하는 인간의 정신에너지가 저장된 창고,
원본능에서 자아와 초자아가 분화
- 본능적인 욕구(성욕과 공격욕)를 관장
- 원본능은 생물학적 과정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Libido(원본능, 자아, 초자아의
활동에너지)라는 에너지 방출
- 원시적인 여러 쾌락추구의 충동을 만족시키려 드는 작동을 하기 때문에
쾌락원리에 의해 작동 (쾌락적인 욕망은 수행, 고통스러운 것 회피)
- 원본능을 기능상 외부세계와 교섭할 수 없으므로 욕구를 환상으로써 해소하려한다.
그러나 환상으로써는 해소하지 못하므로, 비현실적인 환상으로써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시도를 1차적 과정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