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이론 학자별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06.08
- 최종 저작일
- 2019.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발달이론 학자별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인간성격 발달이론 학자
1. 프로이드(Freud) - 정신성적 발달이론
2. 에릭슨(Erikson) -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3. 설리반(Sullivan) - 대인관계 이론
4. 피아젯(Piaget) - 인지발달 이론
5. 말러(Mahler) - 분리개별화 이론
6. 콜버그(Kohlberg) - 도덕성발달의 단계
본문내용
★ 프로이드(Freud)의 정신성적 발달이론.
인격의 성장과 발달은 끊임없이 계속되는 과정으로 프로이드는 영아기와 아동기(인간 성 본능의 결정적시기)가 기본적 인격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시기라고 하였다. 아동의 여러 단계에서 일어나는 경험이 성인 인격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신체의 거의 모든 부위가 성감대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프로이드는 성의 본능이 가장 중요한 본능이며, 그 근원과 대상은 인간이 성숙해짐에 따라 변한다고 보았다. 여기서 성이란, ‘불쾌한 느낌의 상태와 반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 중 략 >
★ 에릭슨(Erikson)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이론에 사회를 접목시킨 정신분석가이다. 모든 사람은 유전뿐 아니라 사회의 산물이라는 가정하에 개인적 불안에 사회적 관심사가 반영된다고 하였다. 자아의 발달이 인격발달의 기본이며 개인의 인격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해당하는 갈등과 위기를 극복하고 처리하는 것에 따라 인격이 달라진다고 주장하였다.
< 중 략 >
★ 말러(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 (=대상관계 이론)
소아 정신분석 의사 말러는 자신의 임상경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이 최초로 사랑했던 어머니라는 대상과 분리되는 심리과정을 3기로 나누어 발표하였다.
① 정상 자폐기 (출생~1개월)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하고 모든 세상을 자신으로 여긴다. 이 시기에 고착되면 자폐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② 공생기 (1~5개월)
모자가 공생하는 시기. 자신을 어머니의 연장으로 생각하면서도 어머니를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사람으로 인식하기 시작한다. 어머니에 해당하는 존재가 없거나 어머니로부터 거절감을 느끼게 되면 후에 공생정신증을 초래한 수 있다고 하였다.
③ 분리개별화기 (5~36개월)
어머니로부터 신체적, 정신적으로 분리되어 개별화가 이루어지는 시기. 이 시기는 4단계로 나누어진다.
참고 자료
제4판.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2018). 한금선 외. (고문사)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개정판(2010). 정옥분 외. (학지사)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2011). 최영민 외. (학지사)
[네이버 지식백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나는 누구인가’에서 시작된 정체성의 발견 (정신의학의 탄생, 2016.01.15, 하지현)
[네이버 지식백과]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s theory of moral reasoning]
(심리학용어사전, 201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