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를 읽고] 탈 자본주의 사회
- 최초 등록일
- 1998.12.02
- 최종 저작일
- 1998.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용자제공 자료실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이 경진님의 자료입니다.
탈(post)자본주의
97010278 이경진
산업혁명 이후 세계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라는 두 가지의 이념을 통해
경제원리를 해석해 왔고 그러한 두 가지의 경제원리가 주가 되어 근대이후의
세계를 이끌어 왔다. 먼저 형성되었던 자유경쟁 시장 원리를 기반으로 했던
자본주의의 모순을 지적하며 등장했던 마르크스의 공산주의였지만 마르크스
가 예견했던 자본주의하의 자본가와 프롤레타리아 계층간의 갈등으로 인한
자본주의의 붕괴는 자본주의가 스스로 그 모순을 극복하자 실제로 이루어지
지 않았고 오히려 마르크스가 제시했던 공산주의 체제가 예견하지 못한 자체
의 모순으로 무너져 버리고 말았다. 마르크스의 시대의 대부분의 지식인들은
실재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사회가 자체의 모순으로 붕괴할 것이라는 주장
에 동의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잘못 판단했기에
자본주의 사회는 몰락하지 않았는가? 그것은 경영이라는 개념이 생산의 3요
소 즉, 토지, 자본, 노동 중에 포함된 것이다. 마르크스 시대 때만해도 생산
의 3요소에 대한 운영방식은 그다지 중요한 개념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 운영
방식에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이 합해지면서 그 것은 본격적으로 경영이
라는 개념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그 경영이라는 개념은 붕괴 할 것이라던 자
본주의를 존속케 했으며 나아가 세계를 양분하고있던 이념중 하나인 마르크
시즘을 무너뜨리게 하는 초석이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