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一考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12
3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동국사학 / 57권
저자명 : 이명제

목차

Ⅰ. 머리말
Ⅱ. 인식의 전거-⌈燕行雜錄⌋의 내용과 저술 태도
Ⅲ. 인식의 변용-대청인식의 계승과 전유
Ⅳ. 인식의 확장-세계관의 재구축
Ⅴ. 맺음말

한국어 초록

⌈燕行雜錄⌋은 1822년 연행에 참여한 조선 지식인의 저작이다. ⌈연행잡
록⌋은 16권 16책의 거질로 중국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내용과 인문지리학
적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부분은 ?연행잡록?
이 포괄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이 북경과 중국을 넘어 세계를 담아내고 있
다는 점이다.
⌈연행잡록⌋의 지리적 외연의 확장은 대청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청조가 번영을 구가하면서 18세기부터 조선 지식인의 청조에 대
한 평가는 변화하기 시작하는데, 특히 ‘북학파’라 불리는 일련의 지식인 그
룹에 의하여 청조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연행잡록⌋은 이러한 18세기 연행의 성과들을 수용하면서도 이전 시기
에 비하여 무비판적으로 청조를 긍정하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8세기의
지식인들이 청조를 세밀한 관찰의 대상으로 여긴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청조의 실제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의존의 대상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세계관을 재구축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연행잡록?은 청조를 천하의 중심으로 인정하고 기존에 포섭되
지 않았던 여러 국가들을 청조 중심의 질서에 편입시키는 작업을 진행한
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우선 명말의 지리서인
⌈廣輿記⌋의 체재와 내용을 수용하여 명대에 구축되어 있던 중화질서를 청조에 이식하였다. 두 번째로는 ⌈광여기⌋에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
西學 수용의 논리였던 ‘중국원류설’을 차용하여 중화질서로 포섭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연행잡록⌋에 드러나는 대외인식의 단면들을 살펴
보았다. 이는 북학으로 대변되는 18세기 후반의 성과를 일정부분 수용하
면서도 청조에 대한 종속성을 심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재정립
하는 과정이었다.

영어 초록

Yeonhaengjamnok (燕行雜錄) is a travelogue of the 1822 envoy
from Joseon to Qing, which is written by an anonymous Joseon
intellectual. It contains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of Chinese
humanities, sociology, and geography at the time, in vast volume.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ravelogue has an especially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 book is
representing a widened world view of the author who grasped the
world outside China.
This widened perception of the world was derived from the shifting
view on Qing China in chuson at the time. As Qing enjoyed its
prosperity, Joseon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started to see Q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 group of scholars called ‘Bukakpa
(School of Northen Studies)’ among the intelligentsia of Joseon pursued
to learn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Qing and tried to see Qing with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e author of Yeonhaengjamnok accepted this new perspective and
expressed an uncritical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Qing’s prosperity
in his book. He regarded Qing as something his country should rely on, unlike those Bukakpa scholars who tried to carefully observe and
analyze Qing.
His perspective on Qing is well reflected on his widened world
view. In Yeonhaengjamnok, Qing is described a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those countri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cino-centric order of Ming are newly accepted as a part of Qing’s new
hegemony. The author adopted the world view of a renowned
geography a book from the late Ming China, Guangyuji (廣輿記), and
established Qing’s world order based on that. He also accepted ‘the
theory of Chinese Origi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used it to
insert the areas that were not included in Guangyuji into Qing’s world
order.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widened world view represented in
Yeonhaengjamnok. The changed perspective enables ones to understand
the re-establishing process of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the
world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to see how the tradition of Northen
Studies in 18th century was appreciated in the following centur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一考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