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마을형 친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친환경관련 문헌 조사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4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5권 / 2호
저자명 : 변경화, 유창균

목차

I. 서 론
II. 친환경관련 일반 연구동향
III. 친환경관련 마을단위 연구동향
IV. 마을형 친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고려사항
V.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친환경 건축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중요 패러다임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LEED(미국), BREEAM(영국),CASBEE(일본) 등의 인증기준을 통해 친환경 건축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6년 ‘주거환경우수주택인증제도(국토해양부)’와 ‘그린빌딩인증제도(환경부)’를 시작으로 친환경인증제도가 시작되었고, 2002년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로 통합·본격화되었다.그런데 아무리 우수한 친환경 관련 인증을 받은 건축물이라 할지라도 주변 환경이 친환경적이지 않다면 친환경인증 본연의 의미가 퇴색될 것이다. 따라서 개별 건축물 중심의 인증제도는 마을이나 도시가 친환경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대상과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을 뿐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갖춘 기계·설비 중심에서 자연을 최대한 활용하는 패시브적 설계 중심으로평가지표를 전환시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통마을이나 생태마을 등을 대상으로 친환경 계획요소나 기법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이 특정 마을을 대상으로 한정하여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어, 일반화된 친환경 계획요소나 기법 내지는 활용 가능한 친환경적 지표를 도출해 내지 못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형 친환경지표”의 개발을 궁극적 목표로서 친환경관련 연구문헌을 수집·분류하고, 전체적인 친환경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고찰하여, 마을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문헌에 대한 내용의 분석을통하여 ‘마을형 친환경지표’의 설정에 필요한 고려사항을제시하고자 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related to environmentally friendly for avillage-focused green index. In order to make an assessment, keywords relating to green architecture were selected:environmental friendliness, ecology, sustainable, Noksaek (Green in Korean), gree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naddition, three keywords defining the scope of space were also selected: building, village, and city. Quantitative changesand contents of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s were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ustainable’ and‘ecology’ were the terms most frequently used as parts of subjects and titles, respectively. Second, the studies relating togreen architecture focused on villages mostly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llages; criteria for environmentalfriendliness, analyses and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eatures of the village; and ways to establish agreen, ecological, and sustainable village. Finally, when it came to establishing a village-focused green index, theenvironment, resources, and energy are shown to be very important elements. In addition, the term ‘ecology’ in a greenindex is shown to be significant for the manage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마을형 친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친환경관련 문헌 조사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