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학과 국가고시 보존학 총정리
- 최초 등록일
- 2015.07.24
- 최종 저작일
- 2014.01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 치과보존학 ♣
목차
제 1 장 。 치과보존학 개론
제 2 장 。 우식학,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제 3 장 。 와동형성 및 삭제기구
제 4 장 。 방습법
제 5 장 。 치수보호
제 6 장 。 아말감 수복
제 7 장 。 심미 수복
제 8 장 。 핀 유지형 수복
제 9 장 。 금주조 수복
제 10 장 。 근관치료학 개론
제 11 장 。 치수(근관)의 형태
제 12 장 。 치수질환과 치근단 조직의 질환
제 13 장 。 임상진단방법
제 14 장 。 근관치료의 원칙
제 15 장 。 근관치료의 술식
제 16 장 。 외과적 근관치료학
제 17 장 。 변색치아의 표백
제 18 장 。 근관치료-치주치료 관계
본문내용
제 1 장 。 치과보존학 개론
1. 수복의 개념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B)
- 생활치 및 실활치의 우식, 파절, 교모 및 마모 등으로 인한 경조직 결손을 진단, 적절한 수복재를 사용하여 결손부위를 회복, 더 이상의 손상 예방
2. 보존학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 (B)
- 17세기경 : 최초로 미국과 영구의 ‘이발사 겸 치과의사들’에 의해 비롯, 과학적이라기보다는 진료기술이나 재료에 대한 식견에 불과
- 19세기 : 현대적 의미의 보존수복학의 발전은 아말감의 유해성에 대한 논쟁으로부터 시작, 1840년 세계 최초의 치과대학 설립
- 19세기 말~20세기 초 : G. V. Black과 A. D. Black에 의해 치의학의 과학적 기초 확립, Louis Pasteur가 질병과 미생물의 상호관계 발견
- 1915년 : 우리나라에 서양 치의학이 최초로 도입, 미국인 선교사인 Dr. William J. Scheifley가 세브란스 병원에 치과 설치
3. 보존치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설명할 수 있다. (B)
① 재료 자체의 물리적 특성(물성)
② 치수 및 치질의 상태
③ 치주조직의 상태
④ 심미성 : 복합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세라믹 등
⑤ 우식이환율 : 불소가 유리되는 글래스 아이오노머가 수복재로서 유리
⑥ 환자의 경제적 사정
⑦ 대합치의 상태 : 갈바닉 반응(서로 다른 금속이 부딪혀 나타나는 전류) 고려
⑧ 시술조건 : 직접법, 방습
⑨ 치관 외형의 재현
⑩ 전신의 건강상태
⑪ 술자의 숙련도
4. 보존학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B)
- 치아 경조직 질환 : 치아우식증, 형태나 배열의 이상, 변색, 파절된 치아 및 이미 수복된 치아의 수복물의 교체
5. 보존치료의 영역을 설명할 수 있다. (A)
① 아말감 수복 : 아말감 수복, 핀-유지형 아말감 수복(복잡 아말감 수복), 치질접착형 아말감 수복
② 심미 수복 : 직접 심미 수복(복합레진 수복, G.I 수복), 간접 심미 수복(복합레진 및 도재 인레이/온레이/라미네이트, 도재를 이용한 전장관)
③ 주조 금 수복 : 금 인레이 및 온레이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