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장법의 도입과 그 함의. 민간영역에서 제도, 법적 영역으로

검은거북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12.02
최종 저작일
2021.05
22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장법의 도입과 그 함의. 민간영역에서 제도, 법적 영역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할랄제품보장법이란
<1> 할랄과 하람의 개념
<2> 할랄제품보장법
2) 할랄제품보장법 제정의 제도적 이유
-민간 주도의MUI의 당위성 논란
3) 할랄제품보장법 제정의 사회문화적 이유
<1>할랄 제품 인식의 확장
<2> 무슬림들의 할랄 제품에 대한 맹신
4) 할랄제품보장법 제정의 경제적 이유
<1> 무슬림에 대한 인구학적 접근과 구매력 향상
<2> 글로벌 할랄시장 성장동향과 인도네시아
5) 할랄제품보장법 도입의 함의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0세기에 들어 서구화의 흐름 속에서 이슬람권 국가에서는 1960-70년대를 거치면서 이슬람 부흥 현상이 발생했다. 이슬람의 가치를 개인의 삶과 공적 영역 사이의 중심부로 위치시키려고 했던 움직임은 무슬림의 종교적 의무의 실천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종교 정체성을 강화했으며 서구식 제도에 대한 재평가를 촉진했다. 상당수의 이슬람 국가에서 수용했던 서구식 제도가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려고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서구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이 많아졌고, 이슬람에 부합하는 대안적인 형태의 정치경제체계를 모색하려고 하는 이슬람화적 움직임이 강해졌다.
인도네시아가 항상 주창해오던 다양성 속의 통일이라는 국가 이념에 상응하는 것으로 부각된 것이 할랄제품보장법이다. 이 법은 2014년 법안이 통과되었고 2019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인데 이 법제화는 인도네시아가 처음으로 할랄 제품을 현재까지 민간 주도로 운영해 오던 것을 국가 주도로 강제화 한 것임에 의의가 있다. 과거 인도네시아 MUI소속이었던 할랄인증원(LPPOM MUI)에서 전담했었던 할랄 인증을 2019년 10월 부로 종교부 산하의 할랄제품보장청(BPJPH)으로 이전했다. MUI를 국가와 완전 무관한 순수 민간기구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이는 과거 민간 영역에 있었던 할랄 인증을 국가가 주도하여 직접 관리하겠다는 행보이다. 그러므로 국가이념인 다양성 속의 통일을 포기하고 이슬람화를 지지하는 것에 어떠한 이유가 있어서 이슬람화를 향한 행보를 보이는지 그 경제, 정치, 사회적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상당히 의의가 있을 것이다.
우선 할랄제품보장법이 도입되게 된 제도적 근거로는 법적으로 규정된 국가기관이 아니라 민간 단체인 MUI가 할랄인증제를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상황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었고, 이 기관의 법적인 구속력에 대한 의심으로 인해 할랄인증이라는 제도가 인도네시아에서 공식적 제도로 자리잡고 있음에도 이 제도를 뒷받침해 줄 근거를 법적으로 보장해줄 수 없는 모순적 상황에 대한 해결 의지가 발현된 것으로 해석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엄익란,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한국이슬람학회논총, 23권 3호, 『한국이슬람학회』, 2013년, 33p ~ 56p
김현준, 전제성, 『이슬람과 할랄 소비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장법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2권 1호, 『한국세계지역학회』, 2014년 4월, 61p ~ 87p
박지현, 『할랄인증의 WTO합치성 –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26권2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년 6월, 223p ~ 259p
김형준, 『할랄과 현대적 소비 :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장법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28권 3호, 『한국이슬람학회』, 2018년 10월, 33p ~ 60p
오명석,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제 : 음식, 이슬람법, 과학, 시장의 관계』, 한국문화인류학 45권 3호,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년 9월, 3p ~ 62p
김형준, 『경제 활동의 이슬람화: 인도네시아 사례연구』, 세계지역연구논총 32권 1호, 『한국세계지역학회』, 2014년 04월, 61p ~ 87p
서지원, 김형준, 『인도네시아 2017: 빤짜실라의 귀환과 대선 국면의 도래』, 한국동남아학회 논총 28권 2호, 『한국동남아학회』, 2018년 05월, 147p ~ 179p
이희열, 정장호, 『할랄인증제도와 할랄 인증 강화에 따른 우리의 과제』, 중동연구 33권 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4년 06월, 101p ~ 140p
김중관, 『선진 할랄시장의 구조분석을 통한 국내산업 개발 전략: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UAE를 중심으로』, 중동연구 35권 3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7년, 23p ~ 48p
박정훈,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할랄인증제 비교연구 = 제도운영주체 결정의 정치적 요인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3권 3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6년, 221p ~ 261p
김형준,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급진주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이념적, 실천적 특성』, 동남아시아연구 19권 2호, 『한국동남아학회』, 2009년 06월, 57p ~ 91p
김형준, 『인도네시아 이슬람에서의 종교적 권위의 형성과 그 성격』, 한국동남아학회 논총13권 2호, 『한국동남아학회』, 2003년 08월, 223p ~ 250p
백진경, 김수완, 이희열, 정장호, 『할랄 인증제에 관한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인식분석』, 한국중동학회 논총 35권 1호, 『한국중동학회』, 2014년 06월, 197p ~ 229p
발행물
이정무, 『인도네시아: 세계 최대의 이슬람국에서 번지는 이슬람 근본주의』, 『Voice of the world』, 2017-03-02, http://www.vop.co.kr/A00001129369.html
허유진, 『인도네시아, 2019년부터 강화되는 할랄인증제도』, 코트라 해외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5/globalBbsDataView.do?setIdx=244&dataIdx=158235
검은거북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장법의 도입과 그 함의. 민간영역에서 제도, 법적 영역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