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농촌지역 전통, 개량 및 신축주택 외장색채 비교분석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8.11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9권 / 6호
저자명 : 백석종

목차

I. 서 론
II. 건축과 색채
III. 전통, 개량, 신축 주택의 외장색채 선호도조사
IV. 전통, 개량, 신축 주택의 외장색채 실측조사
V. 전통, 개량, 신축 주택의 부위별 외장색채
VI. 분석 결과의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이는 자극 중 70% 이상이 시각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간적 시각적 구성요소 중 색채는 형태, 질감, 크기 등과 더불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소이다. 따라서 쾌적한 시각 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색채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과 설계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건축물 주변이 자연 환경으로 이루어진 농촌의 경우 주택의 외장 색채는 가장 주된 인위적인 시각적 구성요소이며, 인접 건물은 물론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색채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한다. 산업화 이전의 전통주택은 자연 소재의 사용으로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으나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진행된 농촌 취락구조 개선사업 이후 건축색채에 대한 인식 부족과 인공 도료와 자재 사용에 따른 무분별한 외장색채 사용으로 농촌지역 경관색채의 정체성 실종은 물론 농촌 경관을 훼손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주택을 전통 주택, 개량 주택과 신축 주택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외장 색채 사용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농촌지역 건축의 외장색채 계획의 수립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기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어 초록

Until 1960, the major housing type of rural area in Korea was traditional wooden frame building, which was made of natural materials.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New Village Movement, most of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renovated focusing on changing roof material of rice straw into slate, keeping existing main wooden structure. And then from around 1980, by economical development the new houses have been constructed. On these three phases of traditional type, remodeling type and new construction type, the natural materials of housing facade as wood, soil, stone and plant changed into artificial materials as cement, chemical material and paint. At the same time the exterior color of housing also have been changed and vari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changing aspect of exterior color by comparing remodeled and new constructed housing with of traditional housing. The exterior color of one hundred and fifty seven houses were surveyed and the three color attributes of each part of facade, as roof, wall and window,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case of traditional houses, 98.3% of color are concentrated on the warm color of Y and YR on HUE scale, and 88% of their color are low Chroma. And Value of their color has been varied andspreaded from low to high Value scale. From traditional types to remodeled and new constructed houses, the concentration ratio of warm color on Hue scale reduced from 98.3% to 68.7% and ratio of low Chroma was also changed from 88% to 73.2% and the ratio of low Value color reduced from 51.9% to 29.7%. The exterior color of houses in rural area varied on Hue, and the more saturated colors were used and they became brighter compared with color of traditional hous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basic data of exterior color planning and improvement into harmonized color with natural environme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농촌지역 전통, 개량 및 신축주택 외장색채 비교분석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