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사탕(PPT)발표자료
- 최초 등록일
- 2007.11.04
- 최종 저작일
- 2007.11
- 47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500원

소개글
이건 발표할때 파워포인트구요..
제거에 발표멘트 잘정리되어잇는거 있습니다^^
목차
1. 구조적 단계
2. 갈등의 유형
3. 인물 및 성격
4. 서스펜스의 적용
5. 주제(기독교적 주제사상)
본문내용
11. 갈등의 유형
Chapter 1.
개인 대 사회의 갈등
김영호 가리봉 봉우회
“나 다시 돌아갈래”라는 절규와 함께. 이와 같은 Chapter 1의 내용은 바로 오늘날의 우리 모습이다. 먹고 마시고 춤추고 노래하는 대다수의 현실적인 인간들은 역사에 희생된 개인의 아픔을 끌어안지 못했다. 그래서 주인공 영호는 철로 위로 뛰어든다. 이 때 돌진해 오는 기차는, 영화의 장과 장 사이의 시간적 역행을 매개하는 것으로, 결국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폭력적인 역사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영호는 역사에 의해 받은 상처를 타인들과 공유하지 못한 채 혼자 괴로워하다가 죽음을 맞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영호의 죽음은 그가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삶의 포기라기보다는 역사에 대한 개인의 도전이 아니었을까? 물론 결과는 계란으로 바위 치는 격이었지만, 순응적인 소시민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깨어 있는 인식이 섬뜩하게 형상화된 장면이다.
이후의 작품 내용은 역순행적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한 인물의 파국에 대한 원인을 분석해 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일반적인 순행 구조의 영화가 인물의 궤적을 좇아가기 편하게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데 비해, 이 작품은 인물에 대한 들여다보기를 시도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적극적인 영화 읽기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설가로서의 감독의 역량이 드러나는데, 서사 구조에서의 플롯이 갖는 의미를 적절히 보여 준 것이라 생각된다. 이처럼 견고한 플롯은 감독의 작품 속에 진지한 탐구 의식을 담아 놓는 그릇이 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