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 흐름속의 고려
- 최초 등록일
- 2023.08.03
- 최종 저작일
- 2019.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세계화 흐름속의 고려"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와 원 관계의 특수성
Ⅲ. 여원 관계의 미스테리
Ⅳ. 몽골 바람에 맞선 불개토풍
Ⅴ. 국가의 개조와 유교적 문명사회의 지향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고려시대는 한국의 전통시대 중 가장 ‘역동적인’시대로 평가된다. 고려시대의 역동성은 한편으로는 대외적으로 개방적인 국제관계에서 기인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끊임없는 외침으로 야기된 정치변동과 그에 대한 대응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재석 (2015). 「고려 후기 사대 연구.」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14권 2호(2015.9.30. 61-100), p.3
고려 왕조가 존재했던 동시대의 동아시아는 유력한 왕조가 출현해 부침을 거듭했으므로 고려 또한 그 파고에 따라 부침하게 되었다. 이런 국제환경은 동시대인들로 하여금 생존을 위한 필사적인 노력을 경주하게 만들었고, 왕조국가 고려 또한 군사력 못지않게 능란한 외교력을 필요로했다. 이런 국제환경속에서 고려는 비교적 효과적이며 자율적인 외교를 전개하였다. 이재석, 2015, 앞 논문 p.3
이 시기 고려는 원의 심각한 정치적 간섭으로 기존의 형식적이고 의례적 관계에 불과했던 책봉·조공 관계가 실질적인 제후국의 관계로 바뀌었지만 반면에 부마국으로서 원과 긴밀한 정치·문화적 관계를 맺고 원 문화를 수용하여 동아시아 변방에서 세계사의 중심 무대로 나아가는 성과를 거뒀다. 전통시대의 국제관계에서 고려가 국가체제를 유지하고 선진 문화를 수용하는 고려의 국가적 위상을 이해하는 것은 당시 고려와 원의 관계 및 고려가 원 문화를 수용하는 성격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가능할것이다. 당시 고려가 뛰어든 변화의 흐름이 세계화되어가는 거대한 흐름의 한 가운데 서있는 현재의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태도를 성찰해주지 않을까 기대하며 원간섭기 고려의 특징을 다음의 장에서 살펴보고자한다.
Ⅱ. 고려와 원 관계의 특수성
고려와 원의 관계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된 이유는 식민사학에 의해서였다. 한국사의 독자성을 부인하기 위해 한국사를 대륙 역사에 부속시킨 식민사관에 반박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 문제로 강력한 원 간섭기 와중에도 고려가 독립성을 유지했는지에 대한 해명이 주목받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이재석 (2015). 「고려 후기 사대 연구.」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14권 2호(2015.9.30. 61-100)
최종석 (2017). 「13~15세기 천하질서 하에서 고려와 조선의 국가 정체성.」 역사비평, 10-44.
고명수 (2017). 「즉위 초 쿠빌라이의 고려정책.」 동양사학연구, 141, 257-290
김윤정 (2018). 「고려의 문화의식과 의 관계.」 한국중세사연구(55), 285-317
김인호 (1998). 「특집:여말선초 정치세력과 정치운영론」 여말선초 군주수신론과 대학연의. 역사와 현실, 29, 72-10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일생의례사전
한명기 외 지음, 『쟁점 한국사』,파주, 창비,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