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역사동화 소개pp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역사동화 정의
2. 역사동화 구성요소
3. 역사동화 성격
4. 역사동화 유형
5. 역사동화 가치
6. 역사동화 선정기준
7. 사실과 허구의 문제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념
• 역사동화란? 어린이를 독자로 하는 역사소설
• 역사소설이란? 역사와 특별히 연계된 소설, 곧 사실성과 상상성이란 이중성을 함께 갖고 있는 특이한 서사문학 형태
→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허구적 상상력을 부여한 어린이를 독자로 하는 서사문학
2) 범주
‘역사‘의 시간적 범주가 명확하지 않음
• 성인대상의 역사소설: 현재를 기준으로 대체로 두세대, 40~60년 정도 이전의 과거사를 소재로 한 소설
• 어린이 대상 역사동화: 한세대 이전의 과거사, 20~30년 이전의 과거사를 다루는 것
→ 역사소설과 마찬가지로 두세대 이전(40~60년)의 과거사를 다룬 동화로 한정해 독자와 작가의 시간 개념을 모두 만족
참고 자료
김기정 지음(2004). 「해를 삼킨 아이들」, 창비.
김남중 글, 류 충열 그림(2004), 「기찻길 옆동네」 창비.
황석영 글 김세현 그림(2001), 「모랫말 아이들」 문학동네.
이재선(1999), 「역사소설의 성취와 반성」, 「현대한국문학 100년」, 민음사, 119~120.
대중서사학회(2003), 「역사소설이란 무엇인가」, 예림기획, 9쪽.
공임순(2000),「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책세상, 13~14쪽.
Joseph W. Tuner, 「The kinds of History Fiction」, Genre, 1979, 대중서사학회. 「역사소설이란 무엇인가」, 14쪽에서 재인용
유종호(1991) 「현실주의 상상력」, 나남, 386~390쪽.
원종찬(2005), 「우리 아동문학은 과거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 「창비어린이」 제9호, 창비.
김옥선(2005), 「어린이들에게 역사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창비어린이」 제9호, 창비.
신현재, 권혁준, 곽춘옥(2009) ‘아동문학의 이해’
강숙인 (2015), ‘역사를 어떻게 현대동화화 할것인가’ 아동문학평론 제40권 제4호(통권 제157호)
김태호 (2012), ‘역사동화의 서사적 특성과 서사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동렬 (2015), ‘역사동화 창작론’ 아동문학 평론사, 아동문학평론
김민정 (2006), ‘어린이용 역사동화의 텍스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이윤희 (2003) ‘한국 역사동화 연구’
김송현 (2013) ‘역사동화를 활용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