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 학교보건소/오마하 분류체계/고혈압, 당뇨병/A+받은자료/교수님 극찬
학생간호사만렙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 학교보건소/오마하 분류체계/고혈압, 당뇨병/A+받은자료/교수님 극찬"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간호사례Ⅱ. 간호사정
Ⅲ.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1. 간호문제 도출
2. 간호진단 (OMAHA 분류체계)
3. 우선순위 결정(BPRS)
4. 우선순위 결정 근거
1) 문제의 크기
2) 문제의 심각도
3) 보건사업의 효과
Ⅳ. 간호계획
1. 목표설정
2. 수행계획
3. 평가계획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심장학회에서 발간한 『심장과 혈관: TOPIC2. 고혈압과 당뇨병』을 살펴보면,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 발생률이 높고 고혈압 환자에서 당뇨병 발생 위험 역시 높아 두 질환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고혈압은 약 70%에서 동반되며, 발생 위험도는 약 2배 증가한다. 이를 통해 현재 대상자의 고혈압이 선행질환인 당뇨병의 정규적·예방적 건강관리 실패에 의해 유발됐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진단에서 고혈압을 추가로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진단은 당뇨병에 초점을 맞춘 정규적/예방적 건강관리 실패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당뇨병은 생활습관병이라고 불릴 정도로 평소 생활습관이 건강관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정규적/예방적 건강관리 실패는 만성적인 문제, 즉 BPRS 기준 만성질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진단의 문제 크기는 당뇨병의 정규적/예방적 관리 실패 정도에 근거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당뇨병의 정규적/예방적 건강관리 실패 정도는 이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률과 합병증 유병률, 당뇨병 통합관리 실패율에 근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우선 당뇨병학회가 발간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0』을 살펴보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에서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인 혈당조절률을 보인 경우는 28.3%에 그쳤으며, 이는 10명중 3명만이 혈당조절에 성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혈당조절 상태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당뇨병 유병자 중 당화혈색소 6.5% 미만으로 조절되는 경우는 28.3%에 그치지만 당화혈색소 6.5% 이상 8.0% 미만으로 조절되는 경우는 52.6%였다. 또한 당화혈색소 8.0% 이상인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19.1%에 달했다. 이를 통해 약 72%에 달하는 당뇨병 유병자들이 혈당조절에 문제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이는 BPRS 기준 문제의 크기에서 최고 수치인 25%를 훨씬 웃도는 수치로 그 크기가 매우 크다.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우리나라 만성질환의 발생과 관리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제14권 제4호, 2021.01.21. https://www.kdca.go.kr/upload_comm/syview/doc.html?fn=161231399127800.pdf&rs=/upload_comm/docu/0034/[대한심장학회] 심장과 혈관 제82호, 심혈관질환에서 당뇨병 치료의 최신 지견, 2017 http://www.cvupdate.co.kr/pdf/19_2.pdf
[질병관리청&심뇌혈관질환관리 중앙지원단] 2020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2020.12
[당뇨병학회]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0
방수향, & 장희정. (2007). 노인 만성 질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와 가족간호자의 부담감.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 135-144.
이영란, 권영숙, 이명숙 외 공저, ‘원론 지역사회간호학’, 신광출판사, 2018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중구보건소] 공지사항, 2013년 건강증진 교실 안내, 2013.04 http://www.junggu.seoul.kr/health/content.do?cmsid=2333&sf_dept=30101590000&so_dept=OR&searchField=all&searchValue=%EC%9A%B4%EB%8F%99&mode=view&page=&cid=22293
[중구보건소] 건강정보, 운동처방의 중요성과 목적 http://www.junggu.seoul.kr/health/content.do?cmsid=2220
[네이버 지식백과] 당뇨병 [diabetes mellit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35&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당화혈색소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05
[healtip] 자가혈당 측정법과 주의사항, 임미영, 2020.06.04. http://www.healtip.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4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으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 한국형 ‘당뇨병 예방과 관리 정책’ 전략, 2017.03
[네이버 지식백과] 고혈압 [hypertensio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65020&cid=51004&categoryId=51004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적 예산분석 사례(2), 가정폭력의 사회적 비용 추정, 문유경, 2009
[질병관리본부] 2020년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시의 표준실무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