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발에 대한 언론의 보도로 인한 수용자 인식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3.04.04
- 최종 저작일
- 2022.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문제제기
2. 북한 도발 일지
3. 이론적배경
4. 연구문제
5. 연구방법
6. 연구결과
7. 논의 및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 제기
최근 북한의 도발로 인해 신문과 방송은 꾸준히 이번 북한의 도발의 원인과 심각성, 향후 파장들을 짚었다. 이로 인해 많은 수용자가 북한도발을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직접적인 전쟁 선포와 관련한 메시지는 수용자들에게 공포심을 조성하고 대북제재에 대한 이전과 다른 수용자 태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과 태도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2. 북한 도발 일지
- 2013/02/12 제 3차 핵실험
- 2013/03/11 정전협정 백지화 선언, “대북제재 풀지 않으면 핵무기 타격하겠다” 경고
- 2013/03/20 방송사, 은행 사이버 테러 (북한소행추정)
- 2013/04/05 평양 러시아 대사관에 직원 철수 요청
- 2013/04/08 개성공단 잠정중단 선언, 북한 근로자 철수 시킴
- 2013/04/10 평양 외교관 철수 권고 (10일까지), 미사일 발사 임박
- 2013/04/11 한국, 일본, 미국 등 주변국가 전쟁 대비
- 2013/04/15 김일성 탄생일 (태양절)
- 2013/05/18 단거리 미사일 동해로 3발 발사
3. 이론적배경
3-1. 의제설정이론
리프만은 그의 저서 <여론>에서 의제 설정 과정을 최초로 기술했다. 그는 세계에 대한 공중의 지각을 형성하고 뉴스 소비자에게 의사환경을 만들어주는 뉴스 미디어의 책임에 관해서 썼다. 의제설정에 관한 리프만의 아이디어는 맥콤과 쇼의 채플 힐 연구(1972)에서 처음으로 실증적 검정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캠페인 보도가 이슈의 중요성에 대한 공중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했다. 의제설정이론이란, 미디어가 공중에게 무엇에 대해 생각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미디어가 특정 주제에 주목하고 반복적으로 노출했을 때 실제로는 그렇지 않더라도 보도된 이슈를 중요하다고 평가하도록 중요성을 부가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오미영,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제닝스 브라이언트, 『미디어 효과의 기초』, 한울 아카데미, 2007.
김원용·이동훈, <신문의 보도 프레임 형성과 뉴스 제작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8권 4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