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사상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23.03.21
- 최종 저작일
- 2023.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명 : 고대문학사
주제: 도가사상에 대해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가사상의 학자소개
2. 도가사상의 주요 개념
3. 현대사회에서 도가사상이 주는 의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BC 11세기 경 하(夏) 왕조와 은(殷) 왕조의 뒤를 이어 건립된 주(周) 왕조는 건국 초기에 중국 전역에 천자의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종법 봉건제를 실시하였다. 종법 봉건제란, 천자가 왕조 건립에 공이 있는 혈족들을 제후로 봉하여 각 지역을 다스리게 한 제도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자와 제후들 간에 혈연적 유대가 느슨해지면서 천자에게 예속을 거부하는 제후들이 등장하며 종법과 봉건제에 기반한 기존 사회 질서가 무너지며 춘추전국시대가 시작된다.
춘추전국시대는 제후국들 간에 패권쟁탈과 영토확장을 위한 전쟁이 빈번하게 일어난 시기였으나 한편으로는 사상적으로는 철학자가 대거 출현하여 활약했던 창조적 시기였다. 전쟁과 학살이라는 악순환에 빠져 백성들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고, 인간성마저 상실되는 시대에 인간의 자기 존재에 대한 자각과 성찰, 윤리적 행위에 대한 모색과 국가통치관 등에 대해 다양한 사상가들이 자신들의 방식으로 사회적 변동이 극심했던 당시 혼란을 어떻게 회복하고 질서를 확립할 수 있을지 각자의 소신대로 발언하였다.
노자와 장자도 이 시기에 등장한 사상가 중 한 명이다. 두 사람은 같은 시대의 사상가가 아니며 노자는 도가사상의 창시자이며 장자는 계승 발전자라고 할 수 있다. 도가사상은 사회의 혼란의 원인을 ‘인위(人爲)’에 있다고 여기며 오직 ‘무위(無爲)’로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도와 만물,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순환적 관계에 있을 때 혼돈을 멈출 수 있고 안정을 획득할 수 있다고 여겼다.
본론에서는 도가사상의 주요 사상가인 노자와 장자에 대하여 알아보고, 도가사상의 주요 개념인 도와 무위자연에 대해 살펴보며, 노자와 장자의 사상적 차이
참고 자료
김시천, 『노자도덕경 - 왕필의 풀이로 읽는』, 전통문화연구회, 2020.
진고응, 최진석 역 .『노장신론』,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7
최진석, 『나 홀로 읽는 도덕경』, 시공사, 2021.
장자, 오강남 역, 『장자』, 현암사, 1999.
전호근, 『장자강의 - 혼돈의 시대에 장자를 읽다』, 동녘,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