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합공학실험, 폴리아마이드 합성, Polyamide수지(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실험결과 및 분석
Ⅱ. 고찰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DSC 그래프를 통해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시점과 감소가 멈추기 시작하는 시점을 통해 유리전이 온도 를 알 수 있다. 또한 DSC 그래프가 아래로 움푹 파인 지점을 통해 (melting point)를 알 수 있다. DSC 그래프의 가로축은 온도, 세로축은 Heat flow(mW)로 설정하여 그린 결과는 위와 같다.
위의 그래프를 기준으로 를 측정해보면 는 약 47.24임을 예측할 수 있다. 같은 경우 온도의 감소가 급격하게 시작하는 점과 감소가 끝나는 점의 중간 지점을 구하여 예측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예측해보면 은 약 216.59임을 알 수 있다. 논문을 참고하여 봤을 때 실제 Nylon-6,10의 는 약 50이고 은 약 228이다. 의 오차는 크지 않지만 의 오차는 에 비해 크다. 이러한 오차는 실제 Nylon-6,10에 비해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Nylon-6,10의 순도와 결정화 때문에 발생하였을 것이다. 결정화가 잘 이루어질수록 사슬의 rigid 정도가 높아져 상태가 변화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여 , 이 높아지게 된다. 즉, 실제 Nylon-6,10 보다 , 이 낮게 나왔다는 것은 결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사슬이 좀 더 유연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이는 만든 Nylon-6,10보다 낮은 순도 때문에 발생했을 수도 있다.
참고 자료
Lee, Jong-Young, Kim, Kwang-Jea.(2016).Overview of Polyamide Resins and Composites : A Review.Elastomers and composites,51(4),317-341.
http://super.textopia.or.kr:8090/new/ktdi2/ktdi2080?page=241&perPageNum=10&searchType=A&keyword=&yyyy=&mmmm=&main_code=KOR&sub_code=%E3%85%87&startDt=&endDt=
조승현, 노덕수, 김석수.(1993).Nylon 수지.고분자 과학과 기술,4(5),339-351.
최수정, 윤경화, 김희승, 유승윤, 김연철.(2011).용융중합에 의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폴리머,35(4),356-362.
이효일, 이종신. (1993).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특성 및 용도. 고분자 과학과 기술, 4(6),423-432.
문병화, 손태원, 임상규, 정재훈, 구강. (1996). 새로운 기능성 고분자의 합성 및 그 특성에 관한 연구(I). 한국염색가공학회지, 8(4), 1-10.
박철호.(2016).계면중합법에 의한 폴리아마이드 박막복합분리막 제작에 있어 유기용매 점도의 영향.폴리머, 40(6),954-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