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부의 지도, 우종국, 2022> 내용 요약
- 최초 등록일
- 2022.09.22
- 최종 저작일
- 2022.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이 책은 2030을 위한 재테크 기술과 부의 지도를 알려 줌으로써 2030이 재테크에 대한 탄탄한 기초 정립과 투자 근육을 키울 수 있게끔 도와준다. 저자는 금리, 저축, 대출, 은행, 투자, 주식, 펀드, 비트코인, 공매도, 부동산, 아파트, 청약, 보험, 연금, 노후 대비, 잡테크, 차테크 등등에 대해 사례를 들어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기본에 충실하고, 일상을 잘 채우는 사람이 승자가 된다고 역설한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포트폴리오 - 마음속에 명품 가방 하나쯤 마련하자
재테크에 정답은 없지만, 하지 말아야 할 것은 있다. 전 재산을 하나의 투자 대상에 ‘몰빵’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몰빵 아닌 재테크’의 좋은 사례가 국민연금 기금의 투자 포트폴리오(portfolio)다. 2021년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연기금)의 투자 대상과 비율을 살펴보면, 채권(국내+해외)과 같은 안전 자산에 43퍼센트 정도를 투자했다. 주식(국내+해외)에는 46퍼센트 정도를 투자했는데, 10년 전만 해도 비중이 30퍼센트 안팎이었으며,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주식 비중을 꾸준히 늘리는 중이다. ‘채권과 주식을 제외’한 모든 투자는 ‘대체 투자’에 속하는데, 여기에는 사모 투자, 부동산, 인프라, 헤지 펀드 등등이 있다. 개인도 국민연금이 하듯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들 필요가 있다. 투자 대상이나 투자 비율을 모두 국민연금과 동일하게 하라는 뜻은 아니다. 투자 대상을 다양하게 하라는 뜻이다.
포트폴리오 채우기 - 학년이 높아지면 가방도 두툼해진다
재테크 연차별 포트폴리오를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재테크 1~3년 차] 예금 70~90퍼센트, 펀드 10~30퍼센트 [재테크 3~5년 차] 예금 60~70퍼센트, 펀드 20~30퍼센트, 저축성 보험 0~10퍼센트, 주식 투자 0~10퍼센트 [재테크 5~7년 차] 예금 50~60퍼센트, 펀드 20~30퍼센트, ELS 0~10퍼센트, 저축성 보험 0~10퍼센트, 주식 투자 0~10퍼센트 [재테크 7년 차 이상] 부동산 투자를 시작할 때 - 직장 생활을 7년 동안 유지하고 매월 120만 원 이상을 모았다면 10년 후에는 1억 원 이상을 모았을 것이다. 이때쯤 실수요를 위한 부동산 투자를 시도해 보면 좋다. 현금 1억 원이라면 2억~3억 원대의 빌라를 전세를 끼고 살 수 있는 금액이다. [재테크 10년 차 이상] 노후 대비 10~20퍼센트 - 부동산을 구매한 이후에도 다시 목돈 모으기 전략이 필요한데, 이때는 많은 투자 상품을 경험해 봤기 때문에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능력이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