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유전자읽기-민속과 놀이
- 최초 등록일
- 2022.03.26
- 최종 저작일
- 2021.1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민속
(2) 놀이
(3) 민속과 놀이의 작용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문화는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한마디로 정의하기 매우 어려운 단어 중 하나이다. 인간이 자연 상태의 환경을 벗어나면서부터 발생한 인위적인 모든 산물인 제도, 예술, 도덕, 풍속, 종교 등이 인간이 속한 집단에 의해 공유된 것이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문화가 다양하게 이해되는 것은 시대적 특징이나 사회집단, 이데올로기에 따라 지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인간 집단이 만들어낸 생활양식이나 상징체계에서 비롯된 문화는 주로 집단에 의해 구분된다. 국가나 성별, 세대, 계급, 인종, 지역, 직업 등 다양한 기준들이 수많은 집단을 만들며 이들은 각기 다른 자기 문화를 형성하고 공유한다. 문화는 사회의 생활양식이자 상징체계로서 인간이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이미 만들어진 삶의 양식을 습득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문화는 교육되는 것이다. 하지만 어느 시대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존재함으로써 문화를 변화하고 사회의 균열과 재생산을 반복한다. 우리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배우는 이유는 우리가 사는 사회 속에 더욱 잘 적응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에 소속감과 연대감을 높이기 위해서이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광범위한 문화 속에서 우리가 가진 민속과 놀이는 무엇이며 어떤 방식과 형식으로 사람들을 연대하고 협력하게 만드는지, 그리고 공동체를 구성하고 확장하는데 어떤 작용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1) 민속
1) 개념
민속의 사전적 정의는 보통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이어져 내려오는 풍속으로 습관, 신앙, 기술 등을 말한다. 민속은 문화 일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화적 차이에 따라 비슷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사람들은 음력을 기준으로 한 달력을 따로 가지고 있으며, 음력을 기준으로 한 설날이나 추석과 같은 다양한 명절을 중요시하여 별도로 지낸다.
참고 자료
[뉴욕한국문화원] 한국 소개 - 문화
https://kr.koreanculture.org/korea-information-culture
초등사회 개념사전, 2010. 7. 12., 고민순, 김금주, 김현숙, 박현화, 이상영, 황정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055
임재해. (2008). 마을 공동체문화로서 민속놀이의 전승과 기능. 한국민속학, 48, 213-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