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A+)
- 최초 등록일
- 2022.02.20
- 최종 저작일
- 2021.10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일반화학실험, 최종 A+ 마감레포트입니다.
purpose, theory, apparatus&Chemicals, procedure, discussion, referenc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목차
1. Purpose
2. Theory
1) 산화-환원 반응(Redox reaction)
2) 산화제&환원제(Oxidant&Reductant)
3) 적정(Titration)
4) 당량점&종말점
5) 산화-환원 적정법
6) 과망간산법
3. Apparatus & Chemicals
1) Apparatus
2) Chemicals
4. Procedure
5. Data&Results
6. Discus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Purpose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수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과산화수소의 순도를 결정한다.
Theory
1. 산화-환원 반응(Redox reaction)
좁은 의미의 산화는 물질과 산소의 결합을 의미했다. 하지만 오늘날 화학에서 ‘산화’는 일반적으로 산소가 아닌 ‘전자’를 통해 판단하고 있다. 즉, 산화-환원 반응은 산-염기 반응이 양성자 전달에 주목하는 것과 달리, 전자 전달에 관심을 둔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산화-환원 반응은 일상에서도 매우 흔하게 일어난다. 화석연료를 태우는 것(연소), 금속의 제련과정, 표백제 사용 과정. 이렇게 범위도 넓고, 예시도 많은 산화환원반응은 산화와 환원이 동시에 발생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산화되어 전자를 잃은 물질과 환원되어 전자를 얻은 물질이 항상 공존하며, 반응 과정에서 잃은 전자 수와 얻은 전자 수는 동일하다. 산화-환원 여부는 산화수를 계산해서 쉽게 알 수 있다. 산화수가 증가하는 쪽은 산화, 감소한 쪽은 환원이다. 만약 산화수에 변화가 없다면 산화-환원 반응이라고 할 수 없다.
참고 자료
대한화학회, 표준일반화학실험, 제 7판, 천문각, 2011, pp132~138
Theodore L. Brown,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4th ed, pearson, 2018, p194-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