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근병증 케이스 간호진단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2가지의 간호과정을 꼼꼼히 적어두었습니다.
목차
1. 심근의 수축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건강상태와 관련된 불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객관적 자료:
· 3년 전 비후성 심근병증 진단 받고 dyspnea 심해져서 myectomy 위해 외래 통해 내원
· 촉진시 수축기 전진음 느껴짐
· 청진시 심첨부에서 1~2도 수축기 심잡음, 심빈맥과 심첨부 내측에서 거친 구혈성 심잡음 확인됨
· 산소공급을 받고 있는데도 호흡 20-22회/분으로 호흡부속근을 사용하며 표정을 찡그리며 가쁜 호흡을 내쉬는 것이 관찰됨.
· Borg 호흡곤란척도 10점 중 5점, 심한 호흡곤란. (0~2점:경함, 3~4점:중등도, 5~8점: 심함, 9~10: 극도로 심함)
· 입원 이후부터 중등도 호흡곤란, 말초부종 (fitting edema+) 지속됨
· EKG 결과 PVC (+) 관찰됨
· Chest X-ray 결과 양쪽 폐의 간질성 폐수종 확인 됨
· ABGA 결과: 산소공급을 받는 중임에도 저산소혈증 및 호흡성 알칼리증 등 경증의 비정상 수치가 확인됨
· Cardiac enzyme결과: Troponin-I, Myoglobin, Creatine kinase, Mass CK-MB 수치 상승으로 심근손상 확인됨
참고 자료
Patricia Gonce Morton, Critical Care Nursing: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5, p. 222-223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1999, p. 631, p. 633, p. 670-68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2019, p. 780-782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심근병증”,(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2574&CONT_SRC_ID=09a4727a8000f2a7&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2020.07.11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II, 수문사, 2019 p.19, p242, p308, p249.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폐부종”,(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57),2020.07.11
질병관리본부, 건강/질병 정보, “호흡곤란”,(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3620&subIdx=5&searchCate=&searchType=&searchKey=&page=1&sortType=date&category_code=&dept=),20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