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위생사의 개념과 역할
- 최초 등록일
- 2021.12.24
- 최종 저작일
- 2020.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치과위생사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치과위생사의 정의
2. 치과위생사의 역할
3. 한국 치과위생사의 탄생
4. 참고문헌 표기
본문내용
1. 치과위생사의 정의
치과위생사(Dental Hygienist)는 국민의 구강 보건향상과 증진을 위하여 구강질환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 치과 처치를 수행하는 임상술식가이 이며, 국민의 구강건강관리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구강보건교육자이며, 치과 진료 과정에서 치과진료협조자로서의 임무를 수행하여 진료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의료기술전문가로서,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취득한 자를 말한다. 즉, 대학에서 치위생과를 나오더라도 무조건 치과위생사가 되는 것은 아니며 국가시험에 합격해야만 진정한 치과위생사가 될 수 있고 국가시험 또한 4년제 대학이나 전문대학에서 치위생과를 전공한 사람만이 응시할 수 있으므로 대학을 나왔더라도 치위생과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은 치과위생사가 될 수 없다. 이러한 치과위생사를 쉽게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치과 의사를 도와 치아 및 구강질환의 예방과 위생에 관한 진료 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시행령 제2조6항(2012.5.22. 개정, 2013.5.17. 시행)
치과위생사는 치석 등 침착물 제거, 불소도포, 임시충전, 임시부착물 장착, 부착물 제거, 치아 본뜨기, 교정용 호선의 장착·제거, 그 밖에 치아 및 구강질환의 예방과 위생에 관한 업무에 종사한다. 이 경우 의료법 제37조 제1항에 따른 안전관리기준에 맞게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를 설치한 보건기관 또는 의료기관에서 구내진단용 방사선 촬영 업무를 할 수 있다.
한편,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업무는 위에 쓰인 법률 내용과 같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여러 학자의 정의가 있지만 Willkins에 의하면 <치과위생사란 치과의사와의 협력관계에 있는 치료사이자 전문적인 자격을 가진 구강보건교육자, 임상가이며 구강병관리에 대해서 개인과 집단으로 하여금 최적의 구강건상상태를 유지·증진하도록 예방적, 교육적, 치료적 기법들을 사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라는 주장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참고 자료
내용 – 치위생학개론 과제 ppt, 치위생학개론 교재(청구문화사), 네이버 ‘치위생과’ 지식백과
사진 – https://washington22.blog.me/221367125199,
https://blog.naver.com/okchung7528/221390217957,
https://blog.naver.com/hodental2525/220629973010,
https://blog.naver.com/yaapricot/220151005746
그림 – 치위생학개론 교재(청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