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PDF문서형식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소개글
"아주대학교 생물학실험2 척추동물의 발생 결과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1) 수정란의 발생
2) 발생단계
3) 수정란의 구조
4) 닭 배아의 발생
5) 제브라피시
3. 실험 결과
4. 실험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 닭과 제브라피쉬의 배아를 이용하여 배의 구조와 발생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을 학습한다.
2. 실험 이론
1) 수정란의 발생
(1) 발생 : 생물 개체들이 유전적으로 가지고 있는 형질들이 난할을 거쳐 성장해가면서 변화되고 복잡해지는 분화를 거치고 성체 형체로 변화하는 과정
(2) 난할 : 수정란에서 일어나는 빠르게 진행되는 세포분열로, 일반 체세포의 세포주기와 달리, G1, G2기가 없이 복제(S)와 분열(M)만 반복되어 세포는 성장이 없이 분열만 일어나므로 난할이 진행될수록 세포의 크기는 점점 작아진다. 특히나 조류의 난자는 특정한 작은 부분에서는 난황이 없기 때문에 단황란이라 하고 세포분열이 한 부분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반할이라 한다.
▼ 포유류와의 비교 (포유류는 전할 중에서도 회전형)
포유류의 난자의 경우 난황이 전체적으로 낮은 농도로 균일 분포하여 등황이라 하며, 세포분열이 전체적으로 일어나고 이러한 양상을 전할이라 한다.
(3) 분화 : 세포가 분열하여 성장하는 동안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하는 현상
2) 발생단계
(1) 상실기 : 32세포기 혹은 64 세포기 이후 할구가 공처럼 뭉쳐있는 시기
(2) 포배기 : 수정란의 난할에 의해 형성된 할구가 표면으로 층을 형성하고 속에는 난할강이라는 빈 구상체를 이루는 시기
(3) 낭배기 : 포배 일부가 난할강 속으로 들어가면서 주머니 모양의 배를 형성하는 시기로, 외배엽은 표피, 신경계, 감각기관 등으로, 중배엽은 뼈, 근육, 혈관계, 비뇨생식기 등, 그리고 내배엽은 소화기, 폐 등으로 발달한다.
3) 수정란의 구조
(1) 난각 : 배를 물리적인 손상에서 보호하며 주변 환경과 가스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석회질의 최외층 껍데기. 안쪽은 난각막과 접하고 있다. 난각에는 많은 기공이 있어 호흡과 수분의 조절 역할을 하며 난자의 보호에 중요한 구조이다.
참고 자료
남석현, 민철기 저, 일반생물학실험, 범문에듀케이션, 2019, p179~180
네이버 지식백과, 난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4561&cid=40942&categoryId=32317
네이버 지식백과, 분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69030&cid=61233&categoryId=61233
네이버 지식백과, 난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02991&cid=50317&categoryId=50317
네이버 지식백과, 난각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23461&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 지식백과, 난백,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4682&cid=40942&categoryId=32319
네이버 지식백과, 난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626&cid=63057&categoryId=63057
장수철,강두나,and 전상학. "닭 발생 관찰을 통한 양막류 발생의 이해." 현장과학교육 2.1
(2008): 67-76.
조정훈, 김선영. (2013). 제브라피시를 활용한 동물의 생식과 발생 및 순환 관련 탐구 모듈
개발 가능성 탐색.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1(3), 392-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