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심근경색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21.05.31
- 최종 저작일
- 2019.08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심근경색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응급실 사례환자 보고서
2. 자료분석
3. 간호진단
4. 실습 후 소감
5. 참고 문헌
6. 응급실 우선순위
본문내용
1) 응급실 사례환자 보고서
1. 일반적 정보
김○○ (M/48)
2. 내원 일시 및 주호소(c.c)
2019년 08월 13일 PM14:21
흉통이 지속적으로 쑤시는 듯이 통증이 심해 사랑의 병원진료후 큰병원 권유받아 전원옴. (동행인: 아내)
3. 도착당시 상태
"가슴이 너무 아파요.“ , ”아파서 죽을거 같아요.”
식은땀을 흘리며 몸을 움크러지며 심장쪽을 만지는 모습이 관찰됨.
(의식상태) : A
(통증) :유, NRS: 9점
V/S: 160/90-80-16-37.0-95%측정됨.
< 중 략 >
6. 이론적 고찰
<급성 심근경색>
급성 심근경색(AMI)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밖에서 사망한다. 급성 심근경색은 심근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능력에 영향을 주어 심인성 쇼크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①원인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Shock,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한다.
②병태생리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참고 자료
약물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성인간호학 2 수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 병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가톨릭 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