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실험]니트로화반응(Nitration)에 의한 Methyl 3-nitrobenzoate의 합성 A+결과보고서(discussion 6페이지 분량)
- 최초 등록일
- 2021.05.11
- 최종 저작일
- 2017.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6가지 평가항목(Excellent, Very good, V good, Not bad, Bad, Reject)에서 Excellent 받은 자료입니다.
Discussion 내용은 한글파일로는 10포인트 글자크기로 6페이지, 분량 캠퍼스노트 기준으로는 6페이지 분량입니다.
목차
1. Procedure
1)진한 황산 6mL를 125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ice bath에 30분 동안 방치한다.(0℃ 유지)
2)위 플라스크에 methyl benzoate 3g을 가한 후 10분간 방치한다.
3)위 화합물에 냉각한 1:1황산 질산 용액 4mL를 한 방울씩 천천히 가한다.
4)산을 다 가하나 용액은 다시 5분간 ice bath에 방치한다.
5)그 후 ice bath에서 꺼내 실온에서 다시 5분간 방치한다.
6)200mL 증류수가 담긴 500mL 비커에 마그네틱 바를 넣고 stir하며 ice bath에 방치시킨다.
7)차가워진 증류수에 만들어진 위 화합물을 부어준다.
8. 생성된 고체 물질을 감압 여과하여 증류수로 천천히 씻어준다.
9. 수득률을 계산한다.
2.Result
3.Discussion
Discussion의 주요 내용으로는 크게 과정분석,결과분석,오차분석을 다루었습니다.
아래는 세부내용의 일부입니다.
◆왜 황산을 용매로 사용한 것일까?
◆전체적인 메커니즘
◆황산과 1:1 황산 용액을 냉각시켜 5℃ ~15℃로 유지시켜 반응 시킨 이유
◆1:1 황산, 질산 용액 4mL의 제조 방법
◆5번 과정에서 반응 시킨 용액을 상온에 방치하는 이유
◆8번 과정에서 씻겨나갈 수 있는 불순물
◆결과값 분석
◆오차원인 분석
본문내용
Discussion
이번 실험은 Nitration을 이용하여 methyl nitrobenzoate를 합성하는 실험이었다. 1번 과정을 보면 진한 황산을 용매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왜 황산을 용매로 사용한 것일까? 우선 첫째로 methyl benzoate가 황산에 녹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황산 용매은 methyl benzoate를 양성자화 시킨다.(중략)
위 3가지 경우에서 ⓵ortho에 첨가,⓶para에 첨가의 경우에는 전자끌개 치환기가 결합된 탄소에 양전하를 띈 공명기여 구조가 존재하므로 특히 불안정하다. 반면에 ⓷meta 치환기에 대한 중간체는 이러한 불리한 양전하를 가진 구조를 피하게 되어 더 이상 불안정해지지 않으므로 생성물이 얻어지게 된다.(중략)
위 그림처럼 황산은 carboxyl group에 양성자화 시키고 이온 species를 형성시킨다. 이것은 전하를 띄어 극성용매인 황산에 녹을 수 있게 된다. 만약 용매를 물로 사용했다면 methyl benzoate는 잘 녹지 않았을 것이다. methyl benzoate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2.1g/100mL로 낮기 때문에 3g의 methyl benzoate를 녹이기 위해서는 100mL 이상의 물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www.ncbi.nim.nih
www.quora.com
유기화학실험(허태성...)
www.slideche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