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연의 산업 규모
- 최초 등록일
- 2021.01.04
- 최종 저작일
- 2020.08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국내 공연산업 규모
① 국내 공연시장 규모 [그래프1-1,2,3]
② 2019 트렌드 예측과 2020 COVID 19
Ⅱ. 본론: 공연산업 추이
① 장르구분 표[2-1]
② 공연 장르별 공연실적
Ⅲ. 결론: 공연산업 문제점과 해결방안
① 지역별 공연 인프라 불평등 및 부족
② 해결방안: 언택트 공연 활성화 및 사이트 개발
본문내용
① 국내 공연시장 규모 [그래프1-1,2,3]
“2019년 공연예술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공연 시장에서 시설 및 공연 단체 수는 [그래프1-1]과 같다. 공연 시설의 수는 2014년까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보이다 2015년 작년 대비 9개의 시설 감소하고 그다음 해에 992개로 34개의 시설이 줄어들었지만, 다시 증가하여 2018년에 가장 많은 시설을 보유하게 된다. 2010년 820개로 가장 적었고 2018년 1,029개로 8년간 209개 약 20%의 시설이 증가했다.
공연단체는 2010년 출발점에서 2012년 106개 약 4.6%의 단체가 사라졌지만, 그 후부터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 2018년 1,420개의 공연단체가 증가했다.
공연시설에 관련된 종사자 수는 2010년도에 비해 2,583명이 증가했다. 공연단체의 경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8,683명 약 15.5% 이상의 인원이 증가했으나 그다음 해 6,195명이 줄어들었다. 2016년 1,533명의 인원의 증가, 다시 871명이 감소, 또다시 956명이 증가한다. 이를 봤을 때 공연단체 종사자가 공연시설 종사자보다 안정적이지 못함을 추측할 수 있다.
공연 시설의 매출액은 2010년 3,274억 원에서 2018년 3,395억 원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17년 3공연단체는 2010년 2,214개 단체에서 2018년 3,634개로 1,420개의 단체가 늘어났다. 종사자 수는 2010년 47,175명에서 2018년 51,281명, 매출액은 2010년 2,219억 원에서 2018년 4,838억 원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2019 트렌드 예측과 2020 COVID 19
예술 경영센터는 공연·예술계의 부흥을 위해 1년 단위로 그해의 추세를 제시한다. 이의 목적은 연구, 기획, 창작, 마케팅, 유통, 재원조성,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종사자들이 변화하는 공연예술 환경에 선제로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참고 자료
"그림의 떡" 온라인 공연 인프라 부족 중소기획사, 현 주소는? YTN뉴스
2017 공연예술계 실태보고서/공연예술경영센터
2018 공연예술계 실태보고서/ 공연예술경영센터
2019 공연예술계 실태보고서/ 공연예술경영센터
2019 공연에술계 트렌디/KOS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