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의학이 눈부시게 발달한 오늘날에도 한의학은 대중 의학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 이유는 까마득한 과거의 고인들이 앓았던 질병이 지금도 우리가 흔히 앓고 있는 병이며, 그러한 질병의 원인도 내인(來人), 즉 오욕칠정(五慾七情)과 관련된 정신적 요인과 외인(外因), 즉 기후 환경과 세균, 바이러스 등과 불내외인(不內外因), 즉 과식, 굶주림, 과로, 타박 손상 등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사라진 질병도 있고 새로 생긴 질병도 있으며, 같은 질병의 원인도 예와 지금이 현격히 다른 경우도 있다. ‘동의보감’은 출간된 지 400년이 되었음에도 아직도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명실상부한 한의학의 대표서적이며 한중일 3국에서 모두 그 학문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 의서이다.
그 한의학을 대표하는 서적인 ‘동의보감’에서 도교양생론을 받아들인 방식은 다양하다. 내단수련이나 ‘황정경’의 존사, 태식을 비롯한 호흡법, 고치 등의 부수적 양생법 등을 직접 인용했다.
참고자료
· 원진희 (2013). ‘동의보감’의 의학사적 가치
· http://www.archives.go.kr/next/common/archivedata/render.do?filePath=2F757046696c652F70616c67616e2F313337323734333835303130392e706466
· 전형권 (2015). 고등학교 도덕교육에서 도가사상의 수용과 과제. 도덕교육연구, 27(2), 157-182
· 정우진 (2014). 동의보감의 이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도교문화연구, 40, 187-218
· 정재현 (2017). 諸子百家 思想으로 구성해 본 현대사회의 德論과 修養論.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318-32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