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물리의 이해 과제('상대성이론이란 무엇인가' 독후감)
- 최초 등록일
- 2020.12.07
- 최종 저작일
- 2020.10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현대물리의 이해 과제('상대성이론이란 무엇인가' 독후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도서 요약
I부. 시작
II부.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
Ⅲ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Ⅳ부. 상대성이 지니는 의미
2. 책을 읽고 난 소감
본문내용
블랙홀은 질량이 대단히 크며, 빛이 달아나지 못하는 물체로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검다. 블랙홀의 중력은 두 가지 방식으로 드러나는데 첫째, 그 주변을 도는 물체를 보고 블랙홀을 찾을 수 있다. 즉 눈에 보이는 어떤 항성이 궤도를 그리면서 아무것도 없는 중심 주위를 돌고 있다면 블랙홀일 가능성이 있다. 둘째, 블랙홀의 존재는 블랙홀을 둘러싼 가스가 내뿜는 빛을 통해 알 수 있다. 블랙홀 가까이에 있는 가스는 블랙홀 주위를 돌게 되는데, 블랙홀은 크기는 아주 작아도 질량은 매우 크기 때문에 블랙홀 가까이에 있는 가스는 굉장히 빠른 속도로 돈다.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가스는 온도가 아주 높은데 고온의 가스는 자외선이나 X-선 빛과 같이 높은 에너지의 빛을 낸다. 따라서 매우 작은 물체를 둘러싼 지역에서 X-선이 뿜어져 나오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면 이 작은 물체가 블랙홀일 가능성이 있다. 초질량 블랙홀은 은하계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들 블랙홀의 기원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들의 거대한 질량 덕분에 이들을 발견하기는 비교적 쉽다. 지구가 속한 은하계인 우리 은하의 중심에는 항성들이 엄청난 속도로 중심 물체의 주위를 돌고 있는 것을 관측할 수 있다. 행성이 도는 속도로 볼 때 이 중심 물체는 태양의 질량보다 약 400만 배나 크지만, 지름은 태양계의 지름보다 그리 크지 않다. 오직 블랙홀만이 그렇게 작은 공간에 그렇게 큰 질량이 압축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대부분의 다른 은하계도 중심에 초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 이러한 종류의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십억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진다. 우리 은하는 지름이 약 10만 광년이고, 태양계는 우리 은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 현재의 기술로는 지구에서 25광년 떨어진 블랙홀까지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껏 인류가 만든 가장 빠른 우주선은 시간당 약 5만 킬로미터, 초당 약 14㎞의 속도로 우주를 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