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공학][금속재료실험]금속재료실험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11.11
- 최종 저작일
- 2017.05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신소재공학][금속재료실험]금속재료실험 결과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및 결론
본문내용
1.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주어진 시편표면의 미세조직들을 관찰하기 위한 시편 전처리 과정을 이해하고, 미세조직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2. 이론적 배경
가볍고 기계적 특성향상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먼저 주조공정을 이용한 방법으로 금속 용탕을 응고시킨 후 압연 및 압출 등 여러 가지 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형상의 소재를 제조하는 공법이 있다. 이 공정은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결정립을 5㎛이하로 미세화 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분말야금법, MA법, 기상증착법 등은 결정립 미세화에 효과적인 방법들이지만 벌크화하기 어렵고, 잔류기공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혼입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고비용이 요구되는 등 단점을 가지고 있다.
기계적 특성 향상 방법
(1)고용체 강화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일반적으로 용매 원자의 격자에 용질 원자가 고용되면 순금속보다 강한 합금이 된다.
<중 략>
5. 고찰 및 결론
시편을 마운팅(Mounting)시킨 후 완성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마운팅(Mounting) 후 완성된 시편을 연마합니다. 연마는 200부터 시작해서 4000까지 실시한 후, 폴리싱(polishing)을 실시합니다. 연마할 때 숫자가 커질수록 표면이 더 부드러워집니다. 처음에 연마를 할 때 시편이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하게 연마를 해야 경도를 측정하거나 미세구조를 관찰할 때 지장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 과정이 아주 어려웠습니다. 힘 조절을 조금만 잘못해도 기울어지고 연마지의 숫자가 올라갈수록 기울어진 부분을 평평하게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처음부터 시편이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연마지의 숫자가 바뀔 때마다 연마를 하는 방향을 바꿔가며 시편에 모든 방향이 나올 때까지 연마를 실시합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