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 연구, 봉건 왕조에서 근대적 국가로의 변혁
- 최초 등록일
- 2020.05.25
- 최종 저작일
- 2020.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서양사 연구, 봉건 왕조에서 근대적 국가로의 변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국가 만들기
1. 영토의 통합화
2. 합스부르크와 발루아의 전쟁
Ⅲ. 정치문화와 국왕 주권론
1. 국가의례
2. 절대군주론
Ⅳ. 전쟁과 국가제정
1. 상비군과 조세
2. 중앙집권화
Ⅴ. 국가형성과 사회적 통합
1. 귀족의 몰락
2. 후견제의 조직망
3. 궁정문화의 변화
Ⅵ. 혁명과 반란
1. 프롱드의 난
2. 영국 혁명
Ⅶ.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16세기 이후 유럽의 국가들은 중세의 한계를 지닌 봉건적 왕조의 형태에서 발전해, 영토 확장 권력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군주들은 상비군과 조세 제도를 통해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했으며, 강력한 권력 및 체계적인 국가의 완성을 위해 여러 가지 의례와 체제를 정비했다. 이렇듯 각 국가들은 절대군주정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반부 사이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은 절대군주정의 허상을 말해주고 있다. 그렇기에 본고에서는 중세의 국가들이 근대국가로 발전하면서 절대군주정의 발전 과정과 절대군주정의 비효율적인 면모로 인해 일어난 반란을 통해서 어떻게 근대국가로 발전해 나갔는지에 대해서 알아 볼 것이다.
Ⅱ. 국가 만들기
1. 영토의 통합화
16세기 유럽사는 전쟁의 시대였다. 유럽은 정복 활동으로 인해 전쟁을 남발했다. 전쟁이란 영토를 넓히기 위한 수단이자 군주들에게 있어서는 자신들의 생존 수단이었다. 그 당시 유럽엔 베네치아 같은 공화국부터 시작해 로마제국, 스위스 자치 정부, 코사크족(Cossack)들의 부족 사회, 피레네 산맥 주변의 수많은 공국들, 교황령, 세습 군주정까지 약 500여 개의 크고 작은 정치 집단들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타 체제의 본보기가 된 것은 다름이 아닌 세습 군주정들이었다. 혈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왕조국가에 가장 중요한 것은 세습과 영토 확대였는데, 특히 영토 통합을 위해 결혼이라는 수단을 정치적으로 사용했다. 대표적으로 카스티야 왕국의 이사벨 1세(Isabella I of Castile, 1451년~1504년)와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2세(Ferdinand II of Aragon, 1452년~1516년)의 결혼으로 이베리아 반도에 에스파냐가 탄생하였고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1세(Maximilian I, 1459년~1519년)와 부르고뉴 공작의 딸 마리(Marie de Bourgogne, 1457년~1482년)의 결혼을 통해 합스부르크 왕가는 북서유럽에서 위용을 떨칠 수 있었다.
참고 자료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84.
배영수. 『서양사 강의』. 한울 아카데미. 2007.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2000.
최갑수 外 2명. 『근대 유럽의 형성 16-18세기』. 까치.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