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일반화학실험 이온과 전기전도도
- 최초 등록일
- 2020.03.05
- 최종 저작일
- 2019.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인천대학교 일반화학실험 이온과 전기전도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예비 보고서 문제 풀이
4. 기구 및 시약
5. 안전 및 유의사항
6. 실험 방법
1) 이온의 이동(시범실험)
2) 전기전도도 측정기의 제작
3) 용액의 전도도 측정
본문내용
실험목표
1. 용액이나 액체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지 조사하기 위한 LED 전기 전도도 장치를 breadboard를 이용하여 직접 제작해볼 수 있다.
2. 이 LED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용액의 전도도를 측정해볼 수 있다.
이론
소금물을 조사해보면 소금물은 전기가 잘 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기르 전도한다는 것인데 고체의 소금이 물에 용해되면 염화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해리되어 이 이온들이 용액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며 전하를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다. 이처럼 물에 용해되었을 때 이온으로 해리되어 전기가 전도될 수 있는 물질을 전해질이라 하고 전도시키지 않는 물질은 비전해질이라 한다. 이때 전해질이라고 해서 모든 전해질이 물에 용해될 때 동일하게 전기를 전도시키지 않는다. 물질에 따라 전기를 전도하는 정도가 다른데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전기 전도도 혹은 전도도를 사용한다. 전해질 중 물에 용해될 때 이온으로 잘 해리되어 이 전기 전도도가 높아 전기를 잘 전도시키는 물질을 강전해질이라 하고 이온으로 해리가 잘 안 돼서 전기 전도도가 낮은 전해질을 약전해질이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