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case study (급성심근경색, 구체적인 간호사정, 간호진단1개, 간호과정1개)
- 최초 등록일
- 2019.11.15
- 최종 저작일
- 2018.08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간호과정
2. 치료 및 경과
3.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및 소감
본문내용
6)Lipid Profile
총콜레스테롤
ㆍ검사 목적 : 총콜레스테롤 상승, LDL상승, HDL 저하는 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ㆍ정상상태 (범위) : 120-220mg/㎗
ㆍ결과 : 245 →234 mg/㎗
ㆍ결과해석: 정상보다 상승되어있다.
HDL 콜레스테롤 :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ㆍ정상상태 (범위) : 남 35-85mg/㎗
ㆍ결과 : 36.2mg/㎗
LDL 콜레스테롤 :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ㆍ정상상태 (범위) : 100 ~ 224 mg/㎗
ㆍ결과 : 147mg/㎗
*진단검사를 요약하면 현재 대상자는 심근경색증을 진단할수 있는 효소들
CK-MB, Troponin 이 정상수치보다 높으며 심근이 손상될때 생기는 SGOT와 SGPT가 정상수치 보다 높다. 또한, 심근에 염증이 있으므로 WBC수치가 높다. 따라서, 이 lab에 따라 심근경색증인 이 대상자에 대한 간호방법과 약물치료가 계획되어야 한다.
3. 치료 및 경과
1) 대상자의 시술
시술명
관상동맥 조영술 & 경피적 관상동맥중제술(Coronary arteriography & coronary intervention)
시술 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은 직경이 가는 도관을 오른쪽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을 통해 관상동맥 내로 진입시킨 후 조영제를 주사하여 관상동맥 내로 진입시킨 후 조영제를 주사하여 관상동맥의 형태나 이상을 관찰한다.
- 경피적 관상동맥 중제술이란 심도자술을 시행하면서 협착된 관상동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확장을 시도하는 비수술적 요법이다.
시술 일시
6/18: CAG&PCI:LADp-vessel disease not LM disease
참고 자료
조경숙(2016년) 외 공저.『성인간호학 상』, 현문사-P619~717
www.dgccvc.or.kr/education/pdf/edu_book01_5.pdf 급성 심근경색증의 치료 -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 관질환센터
http://www.kimsonline.co.kr/ KIMS 의약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