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 생활과학과(식품영양전공) 급식경영학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가 외식&급식산업에 주는 영향)
- 최초 등록일
- 2019.04.24
- 최종 저작일
- 2018.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외식&급식산업
2. 4차 산업혁명
ⅱ. 본론
1.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가 외식&급식산업에 주는 영향
ⅲ. 결론
1.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가 외식&급식산업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서론
◆ 외식&급식산업
가정을 떠나 자기가 조리하는 일 없이 식사를 하는 것(음식물을 먹는 것)을 외식이라 하고 그 식사를 제공하는 것을 직업 사업으로 하는 업계를 외식 산업이라고 한다. 외식 산업은 급식 주체 부문과 음료 주체 부문으로 대별되고, 일반 식당은 독립식당이고 호텔, 여관, 학교, 병원, 공장 등의 식당은 시설부속식당이다. 외식 산업은 소매업의 하나라고도 생각되지만, 식료품점과 같이 단순한 판매가 아니라, 식생활 일부의 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동반하는 것이다.
◆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것이다.
<중 략>
ⅱ본론
◆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가 외식&급식산업에 주는 영향
1. 인공지능, 로봇 등으로 맞춤형 정밀농업이 가능한 ‘스마트팜’
전문가들은 4차 산업 혁명이 스마트공장을 앞세운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 농·수산업 등 전 산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면서 사회, 정부 시스템은 물론이고 사람의 삶 방식까지 바꿀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에 따라 앞으로 우리 농업은 가족농 중심에서 농업의 규모화 과정을 거쳐 기업농으로 점차 변화될 것이라고 보인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새롭게 나타난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축사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일컫는다. 스마트팜이 떠오르는 이유는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현상을 이겨내기 위해서인데 실제 스마트팜을 이용하는 농업인을 인터뷰한 자료를 살펴보면 “1시간이 걸렸던 작업, 클릭 1번이면 됩니다.”라고..
<중 략>
참고 자료
『배달앱부터 인공고기까지, 음식과 기술의 만남 '푸드테크' 』2018.02.14.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2710070&memberNo=15460786&vType=VERTICAL
『가정간편식 ‘포장기술’ 경쟁 뜨겁다』 작성자 경제다반사 2017.09.27. https://blog.naver.com/mocienews/221106374949
『4차 산업혁명, 우리가 주목해야 할 기술 6가지』 2018.02.09.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2910721&memberNo=369800&vType=VERTICAL
『1시간 걸렸던 작업, 클릭 한번이면 됩니다』 농촌진흥청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rda2448/221238615903
『‘인조고기’ 미국·유럽서 열풍』 작성자 농민신문 김해대기자 2017.05.17.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CMS/21764/view
『[신년테마] ‘2018농정 키워드5‘ ④4차산업 농업혁명』 농축유통신문 임경주기자 2018.02.09. http://www.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56
네이버 지식백과 『외식산업』 2018.04.03.
네이버 지식백과 『4차 산업혁명』2018.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