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Ⅰ. 활동요법(Activity therapy)
(1) 정의 :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치료적 활동을 제공하여 사회적 퇴행을 예방하고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환경을 받아들이며 사회적 적응을 할 수 있도록 격려, 지지하여 보다 나은 인격의 통합을 가져오게 하며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한 사람이 되도록 도와주는 치료방법
(2)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에너지를 건설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치료적인 활동, 즉 오락, 음악, 작업, 그림, 문학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치료적 효과에 도움을 가져오는 것.
(3) 정신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데 환자의 연령, 성별, 신체적 한계, 흥미, 이전의 작업, 참여능력 정도에 따라 처방이 되며 환자를 위해 처방되는 다른 의학적 치료와 병행해서 수행.
목차
Ⅰ. 활동요법(Activity therapy)
1. 활동요법의 목적과 계획 및 실시 원칙
2. 음악요법
3. 그림요법
4. 작업요법(Occuptional therapy)
5. 오락요법(Recreational therapy)
6. 공업 요법(Industrial therapy)
7. 독서요법(Bibliotherapy)
8. 시작 요법(문예요법 Creative writing)
9. 무용요법(Dance therapy)
본문내용
Ⅰ. 활동요법(Activity therapy)
(1) 정의 :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치료적 활동을 제공하여 사회적 퇴행을 예방하고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환경을 받아들이며 사회적 적응을 할 수 있도록 격려, 지지하여 보다 나은 인격의 통합을 가져오게 하며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한 사람이 되도록 도와주는 치료방법
(2)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에너지를 건설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치료적인 활동, 즉 오락, 음악, 작업, 그림, 문학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치료적 효과에 도움을 가져오는 것.
(3) 정신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데 환자의 연령, 성별, 신체적 한계, 흥미, 이전의 작업, 참여능력 정도에 따라 처방이 되며 환자를 위해 처방되는 다른 의학적 치료와 병행해서 수행.
1. 활동요법의 목적과 계획 및 실시 원칙
1) 활동요법의 목적
- 환자가 자신의 문제와 갈등을 부분적으로 승화시키거나 밖으로 표출하는 기회.
- 타인과의 접촉을 증가시켜서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켜 협동심, 참여의식을 경험
- 환상과 망상, 착각 등에서 벗어남.
- 병원생활의 단조로움, 답답함, 짜증을 덤.
- 신체운동으로 건강을 도모하고 노동정신을 아양.
- 긴장, 불안, 적개심, 공격심, 갈등 등을 건설적 방향으로 발산.
-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정서상태를 긍정적으로 개선.
- 환자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존심을 높히고 사회적 재활능력을 키움.
- 환자의 남아 있는 건전한 정신기능을 키워서 정상적 행동을 확대.
2) 활동요법의 계획 및 실시 원칙
- 환자 상태에 따라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계획.
- 환자로 하여금 치료적 활동의 원칙을 인식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여 문제를 해결할수 있도록 계획.
- 그룹활동을 통해 환자가 사회생활에 흥미를 갖도록 계획.
- 환자와 환자사이의 좋은 대인관계를 갖도록 계획.
참고 자료
도복늠외 (1999), 최신정신간호학(上), 정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