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의 성립과 발전
- 최초 등록일
- 2012.04.02
- 최종 저작일
- 2011.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수고
목차
1. 문헌정보학의 성립과 발전
1) 성립배경
2) 발전과정
2. 동양의 문헌정보학
1) 중국
2) 일본
3) 한국
3. 서양의 문헌정보학
본문내용
학명의 규정은 그 학문의 연구대상과 성격은 물론 학문의 내용과 질을 구체화시킬 수 있다. 이미 1960년대 이후 정보학의 학문화 과정과 그 흐름에서 살펴 보았듯이 문헌정보학은 종래 기관학적 성격을 지닌 도서관학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학과 융합된 형태로, 미국의 경우는 1970년대 부터 점차적으로 개칭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개칭되어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 문헌정보학으로 명명하고 있다.
도서관학의 효시는 여러 학자들 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독일의 괴팅겐대학과 미국의 콜러비아대학에서 최초로 강좌가 개설된 1887년으로 거슬러 올라 간다. 이전까지는 대학도서관이나 공공도서관에서의 실습, 관찰을 통하여 업무를 파악하게 한 훈련 중심이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도서관학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다라 1926년에 콜롬비아대학에서 도서관 학부(School of Library Science)에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대학에서 정규적인 단일학문으로 성립되기 시작하였다.
2. 동양의 문헌정보학
서지학은 고대로부터 서적을 연구의 주체로 하여 발생한 학문이다. `전통적 문헌정보학`은 서적을 연구의 매체로 하여 발생한 학문으로 종래에 `도서관학`이라 하였다. `정보학`은 제 2차 세계대전 후에 컴퓨터를 학문 연구의 도구로 사용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이는 서지학의 주체와 도서관학의 매체를 연구하는데 수반되는 방법이며 도구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참고 자료
정필모, 문헌정보학원론. 구미무역출판부. 1996. 제 4 개정판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한국문헌정보학회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편찬 위원회 편, 한국도서관협회, 2006.
문헌정보학의 방향과 각성, 노지현 , 부산대대학원학기논고집7, 1997.
이은철, 한국문헌정보관리학회(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4, [1998]) [등재(2001년)])
이용남, 한국정보관리학회(한국정보관리학회 연구보고서, Vol.-, No.1,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