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고려의 군사제도와 경군의 인적구성에 대한 연구

*주*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0.03.20
최종 저작일
2010.03
2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고려의 군사제도와 경군의 인적구성에 대한 연구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고려의 군사제도
1. 고려 초기의 군사제도
京軍의 기원
초기의 군사조직
2. 二軍六衛의 조직과 임무
二軍
六衛
3. 二軍六衛의 편성
4. 지방의 군사조직
州縣軍
州鎭軍
Ⅲ. 경군의 인적구성
府兵制論
軍班制論
二元的 構成論

Ⅳ. 나오는 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가의 안전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은 군사력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서도 대외적으로는 국가의 안전보장을 위하여,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효과적인 치안 확보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고려는 통일을 이룩했지만 그 힘이 지방에까지는 미치지 못하였다. 지방에는 아직도 독자적인 무력과 경제적 기반을 가진 호족들이 분립하여 만만치 않은 세력을 지니고 있었고, 중앙에도 이들 호족출신들이 개국공신이 되어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들 지방의 호족세력과 중앙의 공신세력을 중앙집권체제하에 편제하여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제도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군사조직의 정비에도 나타난다.
이러한 고려의 군사제도를 파악하는 데에는 二軍六衛가 가장 중심적인 고찰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二軍六衛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축적되어 조직과 체계, 임무와 기능 등에 대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있어왔으며 그 성격에 대해서도 많은 학자들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高麗의 군사제도에 대해서는 그 사료가 충분치 않고 현재 학계에서는 그 군사제의 성격에 대한 학설이 분분하기 때문에 그 조직과 성격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高麗의 군사제도에 대해 二軍六衛의 형성과정부터 각 부대의 명칭과 임무 그리고 그 성격을 알아보고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Ⅱ. 고려의 군사제도
1. 고려 초기의 군사제도
京軍의 기원
고려는 외적을 방어하고 또 국민에 대해 국가권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무력 장비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고려에서는 서울에 보통 경군으로 불리는 중앙군을, 그리고 지방에는 주현군을 두고 있었다.
경군은 二軍六衛로 편성되어 있었다. 태조 王建은 본래



軍班制論
고려시대의 중앙군이 특수한 신분으로서 당의 부병과는 구분되는 군반씨족으로 존재하였다는 주장은 이기백에 의하여 제기되었다. 이기백은 종전의 부병제설에 대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그의 주장은 기본적으로 『高麗史』世家 文宗 18年條의 기록을 근거로 하고 있다.
신미에 병부가 아뢰기를, “軍班氏族의 籍을 만든지가 이미 오래되어 좀먹고 썩어서, 이로 인해 군액이 분명치 않으니 청컨대 구식에 의하여 다시 장적을 만드소서”하니 그에 좇았다.
李基白의 군반제의 근거는 바로 위의 내용에 나오는 ‘軍班氏族의 籍’에 근거하고 있다. 그는 경군을 형성한 군인들은 농민으로서 번상된 군인들을 뜻하는 것이 아니면 대대로 세습된 신분으로서 ‘軍班氏族의 籍’에 등재된 전문적 군인이라고 한다. 박시형,「고려의 토지제도」, 『조선토지제도사(상))』,1960. 金宗鉉, 「高麗社會의 軍戶에 대한 小考」, 『慶大史論』1, 1985.
그는 京軍을 형성한 軍班 혹은 軍班氏族의 기원을 왕건과 그에 협력한 후삼국시대의 호족들의 예하 군인들로 추정한다. 그러므로 이들은 본래 농민이었지만, 후삼국 통일전쟁에 참여하게 되어 군인이 된 다음에는 농민과는 구분되는 전문 군

참고 자료

단행본
李基白, 高麗兵制史硏究』, 1968, 일조각.
국사편찬 위원회, 『韓國史』5, 국사편찬위원회, 1993.
국사편찬 위원회, 『韓國史』13, 국사편찬위원회, 1993.
역사비평편집위원회,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쟁점』, 2002.
朴龍雲,『高麗社會와 門閥貴族家門』, 경인문화사, 2003
· 李佑成『韓國中世社會硏究』, 일조각, 1991.
· 朴龍雲, 『高麗時代史(上)』, 일지사, 1985
논문
· 李基白, 「高麗京軍考」,『이병도박사화갑기념논총』,일조각 1956
· 鄭景鉉, 「高麗初期 京軍의 統師體系 - 徇軍部의 兵權에 대한 再解釋을 겸하여 -」 『한국학보』62, 1991.
· 권영국, 「고려초 徇軍部의 설치와 기능의 변화」, 『한국사연구』135, 2006.
· 鄭景鉉, 『高麗前期 二軍六衛制 硏究』,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92
· 金洛珍, 『고려시대의 건륭군』,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 李基白, 「高麗軍役考」,『高麗兵制史硏究』, 일지사, 1968
· 鄭景鉉, 『高麗前期 二軍六衛制 硏究』,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92
· 周藤吉之, 「高麗官僚制の硏究」
· 吳英善, 「高麗前期 軍人層의 二元的 構成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陳元英 「고려전기 校尉隊正에 관한 一考察」,『史學志』27, 1994
· 邊太燮, 「高麗武班硏究 ―武臣亂 전의 武班을 중심으로―」, 『亞細亞硏究』8-1, 1965
· 朴龍雲, 「高麗前期 文班과 武班의 身分問題」,『한국사연구』2122, 1978
· 李基白, 「高麗 軍班制 下의 軍人」,『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 李基白, 「高麗社會에서의 身分의 世襲과 變動」,『韓國의 傳統과 變遷』,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 李基白, 「高麗 光軍考」, 『역사학보』27, 1965
· 李基白, 「高麗 地方制度의 整備와 州縣軍의 成立」 1965
· 李佑成, 「麗代 百姓考 -高麗時代 村落構成의 一斷面―」 『역사학보』14, 1961
· 金南奎, 「高麗 兩界의 都領에 대하여」『경남대학논문집』4, 1977
· 趙仁成, 「高麗 兩界 州鎭의 防戍軍과 州鎭軍」『高麗光宗硏究』, 일조각, 1981,
· 박시형,「고려의 토지제도」, 『조선토지제도사(상))』,1960.
· 金宗鉉, 「高麗社會의 軍戶에 대한 小考」, 『慶大史論』1, 1985.
· 李基白. 「高麗初期 兵制에 관한 後代 諸說의 檢討」, 『高麗兵制史硏究』, 일조각, 1968
· 千寬宇, 「閑人考」,『社會科學』2, 1958.
· 張東翼,「高麗前期의 選軍一京軍構成의 이해를 위한 一試論」,『高麗史의 諸問題』, 三英社, 1986.
· 鄭景鉉, 「高麗前期 武職體系의 成立」, 『한국사론』19, 1988.
· 鄭景鉉, 「高麗太祖의 一利川戰役」, 『한국사론연구』68, 1990.
· 吳英善,「고려전기 군인층의 구성과 衛宿軍의 성격」,『한국사론』28, 1992.
· 洪元基,「高麗 京軍內 上層 軍人의 檢討 ―二軍 및 六衛內 役領, 常領, 海領, 監門 衛領을 中心으로 ―」,『東方學志』77ㆍ78ㆍ79합집, 1993.
· 이혜옥, 「고려전기의 軍役制 ―保勝精勇을 중심으로―」,『국사관논총』46, 1993.
· 권영국,「고려 전기 軍役制의 성격과 운영」,『국사관논총』87, 1999.
사료
·『高麗史』
·『高麗圖經』
·『東文選』
*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한국중세사] 고려 중앙군의 성격 13페이지
    이를 계기로 이원적구성설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기를 띠고 전개되었다. ... 비록 실병력은 그에 밑돌아 운영되었겠지만, 상당한 인력이 군사제도에 편성되었던 ... 고려 중앙군에 대한 연구는 그 구성원인 군인의 신분구성과 사회적 성격 을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고려의 군사제도와 경군의 인적구성에 대한 연구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