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장애인복지
- 최초 등록일
- 2001.05.13
- 최종 저작일
- 2001.05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1. 호주의 사회복지체계 개관
Ⅱ. 본론
1. 장애의 개념과 범주: 장애란 무엇인가?????
2. 호주의 장애 현황 : 조사인구 현황과 호주 장애인 수
3. 호주의 장애인 복지에 관한 중요 법률.
4. 호주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전략과 그 속에서의 이념 : 장애인복지법에 나타난 장애인의 포용과 접근전략과 평등한 대우
5. 호주의 장애인복지를 위한 정책 : 장애인을 위한 소득보장정책, 의료보장정책, 교육보장정책, 고용정책시 설정책 시설정책. 그리고 이런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정부지출
6.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 자립생활센터 프로그램, 장애인을 위한 기술원조 프로그램, 연방정부 및 주정부의 주택지원프로그램
Ⅲ 결론
본문내용
서구의 나라들은 장애인 복지 등을 비롯한 사회복지 정책이 제도화가 효율적으로 되어 잘 시행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호주도 서양국가처럼, 복잡하고 상당히 관대한 사회복지제도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중의 하나는 서양에서는 가족연대가 동양만큼 중요시되지 않아서 한 개인이 직업을 잃게 된다거나, 연로해진다거나, 다쳤을 입었을 때, 심한 부상을 입어서 그들의 손으로 생활을 할 수 없을 때 등의 경우가 발생한다면 그들은 자신의 가족에 의존 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가 그 기능을 보조한다. 그래서서고 사회에서 사회보장제도가 발달된다고 보여진다. 세계의 많은 나라처럼, 호주는 자신 스스로를 보조해 줄 수단이 전혀 없는 사람들을 지원해 주는 사회복지 제도를 갖고 있다. 사회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실업자, 안정적 직장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의 부상을 입은 자, 노인(남자 65세 이상, 여자 60세 이상), 그리고 심리적인 문제가 있는 자들이다. 그리고 소득을 보조하고 그 밖의 다른 도움을 주는 사회적인 '안전체제'(safety net)를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조직과 비 정부 조직은 노인, 장애인, 환자, 실업자, 아이를 가진 가정을 돕는데 협조하는 실정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