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전통무예의 문제점과 과제점
- 최초 등록일
- 2000.08.26
- 최종 저작일
- 2000.08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전통무예의 문제점
3. 전통무예의 과제
4. 맺음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전통문화는 우리에게 역사적으로 주어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 피상속권의 자격은 이미 숙명적으로 주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비판정신이 상실된 상태에서 전통문화를 보전하고 전수할 때 그 문화의 생명력이 상실된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무예가 고유한 것인지를 명확히 밝히는 일 또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비판적인 입장에서 전통무예의 현주소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전통무예에는 어떠한 과제가 있는지를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전통무예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길을 밝히고자 한다.
2. 전통무예의 문제점
1) 전통성의 취약과 혼란
태권도가 아시안게임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태권도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내린는계기가 되었다. 이 봉(1992)은 「일본 무사도 문화나 중국 무술문화의 기형아가 아닌 한국의 창조적 스포츠 문화로 태권도가 그 우위를 당당하게 자리매김하는 역사적 기회로 우리는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 한국 무예인 태권도가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정통무예의 상황은 정통성에서 상당히 취약한 실정이다.
전통은 최소한 3세대는 지속되었을 때 전통이라고 말하는 데 그 기간은 흔히 세대를 말한다. 세대라는 것은 아버지와 아들 그 갭을 말하는 것으로 최소 5년에서 30년까지가 한세대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계파간, 도장간에 세대의 개념이 불분명해지는 개연성이 나타난다.
최근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을 주는 과정에서 이러한 세대의 개면이 무너짐으로서 스승과 제자가 함께 교육을 받는 이른바 스승과 제자가 자격증 획득을 위해 경쟁하는 세대의 혼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2) 우월성의 과시
우리 문화의 우수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외래문화의 모방의 한 변형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전통무예에서는 이러한 우리 것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특징이다. 모든 주요 전통은 그 근본뿐만 아니라 그 역사의 과정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여러 전통들의 합류에서 생성된 것이다. 이국적 외래 전통과의 만남은 어떠한 전통에게도 항상 도전이 있다.
참고 자료
무도론(김정행, 김상철, 김창룡), 1997, 대한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