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유교적금욕주의와막스베버
- 최초 등록일
- 2000.06.28
- 최종 저작일
- 1997.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유교 자본주의의 등장
2. 베버의 설명과 근대화 이론
3. 유교와 자본주의의 결합 역사
본문내용
1. 유교 자본주의의 등장
얼마전까지만 해도 "자본주의와 유교는 조화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놓고 많은 논란이 벌어지곤 했었다. 그러나 이 질문은 이제 분명한 답 그것도 정답을 얻은 질문이 되었다. 일본의 경제적 번영과 그 뒤를 이은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의 눈부신 성장, 그리고 최근 개혁과 개방을 통해 경제적 도약에 진입한 중국과 베트남이 모두 유교 문화권의 국가라는 사실이 분명한 답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와 유교는 이미 조화되고 있다.
유교 문화권의 나라 가운데 경제적 번영을 이룩한 사례가 일본 하나 뿐이었을 때에만 해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부정적인 해석이 지배적이었다(고병익, 1996). 직업을 귀천에 따라 분류하고 질서를 상하의 위계로 설정하는 유교의 가치체계가 자유분망한 시장에서의 이윤추구를 억압한다는 해석이 주류를 이루었다. 문제는 일본이라는 예외가 존재한다는 사실 뿐이었다(Morishima, 1981).
그러나 `동아시아의 작은 용`이라는 4개의 사례가 첨가되면서부터 사정은 달라지기 시작하여 이 질문은 격렬한 찬반논쟁에 휩싸이게 되었다(국민호, 1995). 유교 국가의 교육열과 엄격한 노동윤리가 이들 국가의 수출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있으며(Clegg, Higgins, & Spybey 1990), 유교적 전통을 이어받은 엘리뜨 관료의 국가관리 능력이 발전지향적인 국가를 낳고 있다는 해석이 득세하기 시작한 것이다(Johnson, 1985). 그리고 최근 동아시아 사회주의 국가에서조차 시장경제가 도입되어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가 꿈틀거리기 시작하자 유교가 자본주의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주장은 슬그머니 꼬리를 감추어 버렸다.
그리고 이제는 오히려 유교적 유산이 없었다면 동아시아의 발전은 불가능하였을 것이라는 설명이 확고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교 자본주의`라는 개념의 등장이 이러한 경향을 웅변으로 증명한다(국민호, 1997; Tai, 1989; Tu, 1991).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