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과 심리학
- 최초 등록일
- 1999.10.16
- 최종 저작일
- 1999.10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 묘기 주머니에서 나온 그림...
♤ 애매한 깊이...
♤ 애매한 대상....
♤ 애매한 형/배경...
♤ 불가능한 형/배경...
♤ 불가능한 깊이...
♤ 자기참조의 그림....
♤ 자기참조 상징....
♤ 기괴한 모습 바꾸기....
♤ 지각,회화이상 및 마음...
♤ 속임그림....
♤ 지각 배후의 추리장치....
♤ 지각 애매성....
♤ 내면화된 탈 애매성 원리....
♤ 그림 지각과 생태학적 지각의 비교...
♤ 주요 물체에 대한 공명....
♤나의 견해
본문내용
진화의 시간 잣대로 볼때 최근에야 나타난 인간의 회화 능력은 우리 조상들이 자연에서 경험한 패턴들과는 체계적으로 다른 시각 패턴들을 우리 눈에 제시할수 있게 하였다.
그림이 눈을 속이는 방법들을 알아보면 시지각 원리들의 성질과 그 궁극적인 원천들에 대한 통찰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시각 묘기는 이차원의 그림들을 쓰지 않고도 계속 될수 있다.
또 장면을 보는 각 관찰자는 고정되고 단안의 한 관찰지점,또는 작은 구멍을 통해 보아야한다.
조명이 잘된 어떤 장면을 두눈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보는 시각 체계를 속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 까닭은 지각 심리학자인 제임스 깁슨이 강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체계가 사용할 수 있는 광학 정보는 장면의 실제 공간 배치를 충분히 조건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잘 조명된 보통의 관찰 조건에서는 눈이 결코 우리를 오도하지 않도록 주어진 정보를 잘 활용하는 시각 체계를 인간에게 마련해 준 자연의 선택이 가진 효과성을 나타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