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성숙수준에 따른 BPR의 주요성공요인과 성과간의 관련성 연구
- 최초 등록일
- 1999.09.22
- 최종 저작일
- 1999.09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2.1 BPR 정의
2.2 BPR 주요성공요인
2.3 BPR 추진성과
2.4 조직성숙도
Ⅲ. 연구모형 및 연구설계
3.1 연구모형의 제시
3.2 연구변수의 정의
3.3 연구방법 및 대상
Ⅳ. 연구결과
4.1 표본의 특성
4.2 주요성공요인, 추진성과, 조직성숙도에 대한 기초통계량 분석
4.3 타당성분석 및 신뢰도분석
4.4 조직성숙도에 따른 BPR 추진성과의 차이 검정
4.5 BPR 주요성공요인과 추진성과간의 관련성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본 연구의 의의는 BPR의 주요성공요인과 추진성과를 새롭게 군집화하여 제시하고, 이들간의 관련성을 조직성숙도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BPR 연구의 체계화에 기여를 하였다는데 있다. 그러나 BPR을 추진한 국내 기업들이 추진결과를 공개하지 않으려는 현실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몇 몇 부분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이용된 샘플의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연구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해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많은 샘플을 확보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파악된 주요성공요인과 추진성과간의 관련성은 BPR 프로젝트의 추진범위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하며 많은 샘플을 확보하여 다각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설문 응답대상을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부서에 근무하는 사원들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BPR 프로젝트에 참여한 관리자들로 설문대상을 한정시켰는데, 이는 오히려 객관적인 답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부서 및 계층의 대상들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응답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