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이야기
- 최초 등록일
- 1999.09.21
- 최종 저작일
- 1999.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중산층 의식의 실상과 그 계급적 의미
2. 집의 의미와 주택정책의 성격
3. 교통문화와 자동차읽기
4. 한국의 여가 문화
5. 한국의 아동문제
6, 신세대 문화 비판
7. 한국의 교육문제
8. 한국인의 파벌짓기
9. 한국의 노인 문제
10.한국의 성문화와 매매촌
본문내용
사람들은 흔히 자신들을 중산층이라고 부르고 평가한다. 자녀의 학생생활 조사서나 인구 조사등에 나오는 생활 정도란에 열에 여덟 아홉은 '중'을 선택한다. 그렇다면 정말 우리 사회에는 그 정도의 중산층이 존재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사람마다 계층을 구분하는 기준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수입 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어떤 사람은 문화 수준을 또 어떤 사람은 지식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입정도를 계층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한다. 계층을 구분하는 기준은 수입정도 뿐 아니라 문화수준, 지식수준, 지위등을 모두 고려 해야 한다. 물론 수입이 많은 사람이 사회적 지위와 지식수준,문화 수준등이 그에 따라가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결여되는 경우도 많다.
참고 자료
없음